광고닫기

조현 "한일관계 첫걸음 잘 뗐다…美엔 기술협력 제안할 것"

연합뉴스

2025.07.29 23: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미국 출국 전 도쿄 간담회 "한미협상 원만한 타결 위해 노력…전용 입국심사 재개" 당국자 "사도광산 추도식 날짜 안 정해져…셔틀외교 언제든 재개 가능"
조현 "한일관계 첫걸음 잘 뗐다…美엔 기술협력 제안할 것"
미국 출국 전 도쿄 간담회 "한미협상 원만한 타결 위해 노력…전용 입국심사 재개"
당국자 "사도광산 추도식 날짜 안 정해져…셔틀외교 언제든 재개 가능"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조현 외교부 장관은 30일 "일본 측에 한일관계를 미래 지향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했다"며 "급변하는 국제정세에서 적어도 한일관계는 첫걸음을 잘 뗐다고 자평한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도쿄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주일 특파원과 간담회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한미일 협력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했고 구체적 내용은 더 채워 가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21일 취임한 조 장관은 전날 일본에 도착해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과 회담했고, 이날 오전에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예방했다.
그는 이날 일본 일정을 마치면 미국으로 출국해 31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과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할 계획이다.
조 장관은 "국제정세가 혼란스럽고 어려운 상황에서 우방국과 서둘러 정세 대응, 양자 관계를 협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시바 총리가 면담에서 '셔틀외교'를 먼저 언급했고 여러 건설적 방안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방문 기간에 일본 측과 한일관계, 한미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동북아시아 정세, 청년층 교류 등에 관해서도 이야기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실존하는 위협이지만 대화를 통해 지역 안정을 꾀한다는 측면에서 북한에 대해 논의했고, 일본이 품고 있는 중국에 대한 우려도 들었다"고 전했다.
조 장관은 미국에서도 한미일 협력을 협의할 것이라면서 안보 동맹,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이은 세 번째 협력 요소로 인공지능(AI) 등을 비롯한 기술 분야의 구체적 협력을 제안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원만히 잘 타결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조 장관은 김포공항과 하네다공항에서 시범적으로 한 달간 운영했던 한일 전용 입국심사를 지속하자는 데 대해 일본 측과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국과 일본은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지난 6월 한 달간 김포공항과 김해공항,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과 후쿠오카공항에서 상대 국민 전용 입국 심사대를 운영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한국을 찾는 일본인보다 일본을 방문하는 한국인이 더 많은 상황에서 한국인들이 편익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에 제도를 연장하자는 것"이라며 "사전 입국심사까지 논의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한일 간 현안인 사도 광산 노동자 추도식과 관련해 양국 간 견해차로 반쪽 행사로 치러진 작년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며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고, 실무 단계에서 더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먼저 타결한 것과 관련해서는 "일본 측이 성의 있게 설명해 줬고 알고 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미 워싱턴에 있는 한국 장관들이 숙지하고 있는 내용이어서 일본 측 이야기를 듣고 당장 전달해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없다"고 전했다.
이어 조 장관이 언급한 기술 협력이 한미 무역 협상에서 논의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미 언론에 보도된 조선 분야 같은 것이 의제가 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한미 무역 협상이 잘못됐거나 지지부진한 것은 없다"며 "8월 1일을 데드라인으로 잡고 있으니 그렇게 (합의가)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예측했다.
이 관계자는 한일 정상의 셔틀외교 재개 시점은 일본의 불안정한 정국 등으로 아직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상황에 따라 언제든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신임 주일 한국대사 인사 상황에 대해 "말할 수 없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