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정신과 의사 "돈스파이크, ADHD약 때문에 마약 중독? 헛소리"

OSEN

2025.07.30 00:1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정신과 의사,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 발언에 “ADHD약 마약 중독설, 근거 없는 잘못된 주장”

[OSEN=최이정 기자]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가 ADHD 치료약과 마약 중독을 연관 지어 언급한 발언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했다. 

28일 유튜브 채널 ‘정신과의사 뇌부자들’에는 ‘ADHD약으로 마약 중독이 시작된다는 헛소리에 답을 드림’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방송에 출연한 김지용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최근 유력 정치인이 뉴스에서 ADHD 약에 대해서 다소 오해가 있는 잘못된 사실을 진실인 것처럼 이야기할 것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그래서 잘못된 사실을 바로잡고자 한다"라고 영상을 올린 이유에 대해 밝혔다. 

김지용 의사는 “(인터뷰에서) 부모들이 성적 때문에 아이에게 ADHD 약을 권한다는 말이 있다. 이건 동의한다. 그런데 이 약에는 마약 성분이 있어서 먹다 보면 중독되고 남용하게 된다. 이는 근거 없는 잘못된 발언”이라며 "작곡가 돈 스파이크를 언급하면서 어떻게 마약을 시작했냐고 물으니 ADHD 약에 중독돼서 필로폰까지 하게 됐다고 하더라. 이런 식으로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ADHD 약, 마약을 권하는 것이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이어 "이는 근거가 없는 잘못된 발언이다. 단순히 근거 없는 걸 넘어서 잘못된 발언이기 때문에 바로잡는 게 중요하다"라며 "그분을 공격하려고 하는 게 아니라 정신과 의사로서 공인이나 영향력 있는 사람의 발언이 환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어서 이를 바로잡고자 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사는 이어 “ADHD 약을 의료 목적으로 정해진 용법에 맞춰 복용할 경우 마약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오히려 실제보다 더 낮춘다. 그런데 이런 근거 없는 주장으로 인해 현재 치료받는 사람들이 치료를 거부하거나 걱정하기도 하고 낙인을 우려해 치료를 회피할 수 있다. 부모가 불안해해 이이의 치료받아야 할 시기를 놓치는 사태가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김 의사는 이후 ADHD 약물의 작용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며 "ADHD 약 중 자극제 계열은 도파민을 증가시킨다. 흔히 마약과 유사하게 뇌 회로를 자극할 수 있다. 그런데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굉장히 단단히 약이라 거기서 삼투압 차이로 약물이 새어 나온다. 하루 종일 길게 작용한다. 도파민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지 않는다. 반면 마약은 급속 흡수가 돼 도파민이 강하게 분비돼 중독된다. 처방 용량대로 하면 중독성이 발생하지 않는다. 약들을 정해진 용법대로 안 먹고 갈아서 코로 흡입하는 경우, 마약 대체제로 쓰면 그러면 중독성이 발생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또한 "ADHD 약물은 마약이 아닌데 법적으로 향정신성 약품이라 법적으로 마약류 관리에 의한 법률에 포함돼 있어서 마약처럼 관리가 된다. 엄격하게 관리가 되고 있는데 마약이라 비난하는 건 맞지 않다. 치료 목적이 아닌 오남용이면 중독성이 낮지나 있기는 있기에 엄격하게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처방대로 먹으면 위험하지 않는다. 개인 의견이 아닌 수많은 연구 입증 결과다"라고 부연했다. 

앞서 남 전 지사는 지난 16일 MBC ‘뉴스투데이’에 출연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마약 증가가 사태를 꼬집으며 "성적을 위해 학원 선생님들이 ADHD 약을 권하는 사례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마약 투약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고 최근 출소한 작곡가 돈스파이크를 언급하며 “그에게 ‘어떻게 마약을 시작하게 됐냐’고 물으니 ADHD 약에 중독돼 결국 필로폰까지 가게 됐다고 이야기하더라. 그런데 부모님들이 요즘 아이들한테 그 약을 권하고 있다”라고 말해 파장을 일으켰다.

한편 돈스파이크는 지난 2022년 상습마약투약으로 적발돼 징역 2년 실형을 선고받은 뒤 올해 2월 만기출소했다.

/[email protected]

[사진] OSEN DB, 유튜브 영상 캡처


최이정([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