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30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잇따라 발표한 담화가 북한이 이전보다 유리한 전략적 환경이 조성됐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김 부부장의 대남·대미 담화는 북한 스스로 핵 능력이 강화됐고, 러시아 파병 등 뒷배 때문에 전보다 훨씬 유리한 전략적 환경이 조성됐다는 자신감을 갖고 있는 측면에서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다고 정보위 관계자가 설명했다.
이에 대해 또 더불어민주당 정보위 관계자는 “이런 이야기가 2~3년 만에 처음 나왔기 때문에 조건이 갖춰지면 (북한과) 대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핵 보유 인정’을 대화 조건으로 내놓은 북한 입장에서 자신감이 커졌기 때문에 대화 가능성도 커졌다는 해석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정보위 관계자는 “한국의 ‘핵 폐기 전제 대화’ 요구에 응하지 않는다는 북한의 입장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국정원 차장 등 실무자들이 참석했다.
김 부부장은 28일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 정책에 대해 “나름대로 기울이고 있는 성의 있는 노력”이라면서도“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했다. 이재명 정부에 대해 내놓은 첫 공식 입장이었다.
29일 미국을 향해선 “우리 국가 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조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 실현 목적과 한 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대방에 대한 우롱으로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미국 국무부는 29일(현지시간) 김 부부장 담화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전세계 사람들에게 평화와 번영, 그리고 정상적인 삶을 제공하기 위해 누구와도 대화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