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대만, '韓日 수준' 15% 관세 위해 美에 4천억달러 투자 제안"

연합뉴스

2025.07.30 20: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대만 학자 "美 관세 협상서 더 많은 대가 치러야 할 가능성"
"대만, '韓日 수준' 15% 관세 위해 美에 4천억달러 투자 제안"
대만 학자 "美 관세 협상서 더 많은 대가 치러야 할 가능성"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대만이 미국으로부터 통보받은 32% 상호관세를 한국과 일본 수준인 15%로 낮추기 위해 4천억 달러(약 557조원) 규모 투자안을 미국에 제안했다고 연합보 등 대만언론이 소식통을 인용해 31일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대만 당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8월 1일)을 앞두고 고율의 관세를 낮추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 측과의 관세 실무회담을 위해 지난 21일 미국을 찾은 정리쥔 부행정원장(부총리 격)이 28일 귀국 일정을 조정해 미국에 남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부행정원장이 귀국을 연기한 주요 이유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만에 대한 최종 관세 결정을 보류한 것과 관계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그는 정 부행정원장이 귀국을 미룬 것은 미국 측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위한 결정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소식통은 미국이 대만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미국에 각각 5천500억달러, 6천억달러라는 대규모 투자안을 밝힌 것을 예로 들면서 압박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만 당국이 미국 측에 제시한 투자안이 3천억∼4천억 수준으로 알려졌다고 언급했다.
대만언론은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식약서·TFDA)가 전날 미국 조개류 수입을 위해 미국 수산물 수입 규정을 개정한 것이 관세 협상과 관계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도 보도했다.
아울러 대만 당국이 미국과의 관세 협정 타결 이후에도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한 반도체 관세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추쥔룽 대만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의 상호관세율이 시장 개방 여부, 중국과의 밀착 여부, 대미 투자와 구매액 등 3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이 미국에 대한 대폭적인 개방으로 낮은 세율을 적용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므로 미국이 대만과의 협상에서 반드시 대만 측에 추가 요구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대만의 회계감사 부처인 심계부는 지난 29일 공개한 2024년도 중앙 부처 총결산 심사보고서에서 지난해 대미 수출 증가율이 46.08%에 달했다고 공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철문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