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팔 국가 지위' 인정 방침에 "무역협상 타결 어렵게 할 것"
인도엔 '러시아 무기·에너지 구매' 지적하며 '25% 관세' 예고
트럼프, 한밤 SNS로 캐나다·인도 등 관세 미타결국 거듭 압박
캐나다 '팔 국가 지위' 인정 방침에 "무역협상 타결 어렵게 할 것"
인도엔 '러시아 무기·에너지 구매' 지적하며 '25% 관세' 예고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서 예고한 상호관세 발효일(8월 1일)을 하루 앞두고 한밤 소셜미디어에 잇달아 글을 올려 관세 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국가들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 0시 29분(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와우! 캐나다가 방금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를 지지한다고 발표했다. 그건 우리가 그들과 무역 협상을 타결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할 것이다. 오 캐나다!!!"라고 적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전날 "캐나다는 9월 유엔총회 80차 회기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의도가 있다"라고 밝혔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이 양국 관세 협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한 것이다.
강경한 친이스라엘 정책을 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측 모두를 각각의 독립 국가로 인정하는 이른바 '두 국가 해법'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미국은 지난달 각국 정부에 보낸 외교 전문에서 팔레스타인을 잠재적인 국가로 인정하는 모든 조치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마이크 허커비 주(駐)이스라엘 미국 대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건설이 더 이상 미국의 외교 정책 목표가 아니라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이 캐나다에 예고한 관세율은 35%다. 8월 1일 전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캐나다는 이 세율을 일단 적용받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0시 트루스소셜에 인도와 관련한 글도 추가로 올렸다.
그는 "나는 인도가 러시아와 무엇을 하는지 상관하지 않는다. 그들이 그들의 죽은 경제를 함께 끌어내려도, 내가 상관할 바 아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우리는 인도와 매우 적은 거래를 해왔고, 인도의 관세는 매우 높아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마찬가지로, 러시아와 미국은 거의 교역을 하지 않는다. 계속 그렇게 하자"고 덧붙였다.
전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살상을 멈추기를 모두가 원하는 때에, 인도는 항상 군사 장비 대부분을 러시아에서 구매해왔고, 중국과 함께 러시아산 에너지의 최대 수입국"이라고 지적하며 인도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한 데 이어 압박 수위를 한층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관세 발효일을 앞두고 한국을 비롯해 영국, 유럽연합(EU),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캄보디아와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
그러나 브라질, 인도, 캐나다, 멕시코, 대만 등은 아직 미국과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브라질에 대해 기존 관세 10%에 추가로 40%를 더해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유미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