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 침투를 감시하기 위해 백령도에 배치된 방공레이더가 작년 하반기 일정 기간 야간에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군 내부 증언에 따르면, 이는 특정 시기 북측을 겨냥한 무인기 작전을 은폐하기 위한 의도된 조치였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31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실이 군 관계자의 제보를 인용해 밝힌 바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백령도 해병대 6여단에 배치된 국지방공레이더는 주간에만 운용하라는 지시가 합동참모본부(합참)로부터 하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레이더는 소형 북한 무인기까지 탐지 가능한 장비로, 2023년 1월부터 본격 운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정 기간 야간에 작동이 중단됐으며, 당시 군 내부에서는 "한 대뿐인 레이더를 주간에 집중 운용했다"는 해명이 나왔지만, 무인기나 오물 풍선 등 북한 발 위협 가능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야간 가동을 전면 중단한 점은 석연치 않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 시기 드론작전사령부는 북한 영공에 무인기를 침투시키는 비밀 작전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전은 지난해 10월 3일, 8∼9일, 11월 13일 등 세 차례 진행됐다. 레이더가 주야간 정상 가동되었다면 이 무인기 작전이 아군에 탐지될 수 있었던 만큼, 이를 회피하기 위해 야간 운용을 일부러 제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현재 해당 레이더는 주간에 주로 작동하고 있으며, 야간에는 불규칙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미애 의원은 “만약 이 기간 중 북한 무인기가 백령도를 통해 남측으로 침투했다면, 사실상 국군은 무방비 상태였던 셈”이라며 “북풍 조작 의혹을 감추기 위한 고의적 작전 은폐이자, 안보 공백을 유발한 중대한 이적 행위로 볼 수 있다”고 비판했다.
‘12·3 비상계엄’ 내란 및 외환 음모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해 드론작전사령부에 직접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는지를 수사 중이다. 특검은 또한 이 작전이 정상적인 군 지휘 체계를 거치지 않고 실행됐는지, 이후 조직적 은폐 시도가 있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