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美 '상호관세 25%→15% 서명'에 "경제 하방 위험 줄어"
"車관세 인하 조기 시행 요구"…日언론 "상호관세, 기계·배터리 등에 영향"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정부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내용이 담긴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과 관련해 "일본 경제와 세계 경제 하방 위험을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련의 합의를 통해 미국 통상정책에 관한 불확실성이 작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하야시 장관은 "계속해서 미국 측에 자동차, 자동차 부품 관세 인하 등 합의 조치를 조속히 실시하라고 요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일본과 미국은 합의를 착실히 실시하기 위해 노력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이날 총리 관저에서 열린 차관 회의에서 "담당하는 업계 대상 설명을 이달 중에 집중적으로 하고 불안과 의문을 불식해 달라"고 당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한국, 일본 등과 진행한 무역 협상 결과를 반영해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관세율은 오는 7일부터 적용된다.
미국은 일본과 협상을 통해 자동차 관세도 기존 27.5%에서 15%로 낮췄으나, 시행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미국이 일본산 상품에 상호관세 15%를 부과하더라도 일본 기업 실적에 역풍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해설했다.
기계 업체인 고마쓰는 미국 관세 영향으로 연간 비용이 750억엔(약 7천억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고, 화학기업 아사히카세이는 연간 이익이 약 100억엔(약 930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닛케이는 기계, 인쇄기, 배터리 등 여러 분야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영향이 클 것으로 관측했다.
이 신문은 인하된 자동차 관세 적용 시기도 명확하지 않아 관련 업체 부담이 크다고 짚었다.
닛산자동차는 지난 5월 미국 관세에 따른 연간 영업이익 감소 예상액을 최대 4천500억엔(약 4조2천억원)으로 잡았으나, 지난달 30일 최대 3천억엔(약 2조8천억원)으로 줄였다. (취재보조: 김지수 통신원)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