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캐나다 총리 "트럼프 35% 상호관세에 실망…FTA 고수할 것"

연합뉴스

2025.07.31 23: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펜타닐 통제 노력해왔다" 강조…"美와 협상 계속" 8월 1일부터 즉시 35% 적용…현행 기준 최고 관세율
캐나다 총리 "트럼프 35% 상호관세에 실망…FTA 고수할 것"
"펜타닐 통제 노력해왔다" 강조…"美와 협상 계속"
8월 1일부터 즉시 35% 적용…현행 기준 최고 관세율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율 35%를 1일(현지시간)부터 즉시 적용받게 된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가 이에 실망감을 표시하며 기존 양국 간 자유무역 협정을 고수하겠다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이날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미국·멕시코 자유무역협정(CUSMA, USMCA를 캐나다에서 부르는 표현)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35%로 올렸다"라며 "캐나다 정부는 이 조처에 실망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CUSMA를 적용한다는 것은 캐나다 제품에 대한 미국의 무역 상대국 중 평균 관세율이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한다는 뜻"이라면서도 "목재,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우리 경제의 다른 분야는 미국의 세금과 관세로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렇지만 우리는 여전히 CUSMA에 지속해서 전념하고 있다"며 양국 간 무역 협정 준수를 강조했다.
전날 백악관은 "캐나다는 지속되는 펜타닐과 기타 불법 마약의 유입을 차단하는 데 협조하지 않았다"라면서 이날부터 USMCA 적용이 제외되는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35%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카니 총리는 미국과의 협상을 계속하고, 미국 관세로 피해를 보는 분야에 대해선 다각도로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의 협상을 계속 진행할 것이지만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며 피해 분야에 대해서는 "일자리 보호, 산업 경쟁력 강화, 캐나다 제품 구매, 수출 시장 다변화 등을 통해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펜타닐 등 유입에 대해서는 "캐나다는 미국 펜타닐 수입의 1%만을 차지하며, 이 양도 줄이기 위해 노력해왔다"라며 "마약 밀수업자 체포, 다국적 갱단 해체, 밀입국 방지 등을 통해 국경 안보에 역사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유예 없이 이날부로 캐나다에 상호관세율 35%를 적용함에 따라, 현재로서는 캐나다가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는 나라가 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날 발표한 새 상호관세율에 따르면, 미국이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국가에는 10%, 무역 적자국에 대해서는 15% 이상이 오는 7일부터 적용된다.
USMCA 당사국인 멕시코는 상호관세율 30% 부과 위협을 받기도 했으나, 90일간 유예가 적용돼 현행대로 25%가 적용된다.
중국과는 서로 100% 넘게 부과하던 관세(미국은 중국에 145%, 중국은 미국에 125%)를 오는 12일까지 유예하기로 한 상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도연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