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우충원 기자] 이영표가 일본 축구의 비약적 발전을 인정하며, 한일 축구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한일전의 기억부터 현재 양국 대표팀의 격차까지 냉철하게 분석했다.
사커다이제스트웹은 1일 이영표와의 심층 인터뷰를 공개했다. 이영표는 “어릴 적부터 한일전을 꾸준히 지켜봤다. 학창 시절만 해도 일본에 진다는 건 상상조차 하지 않았다. 내가 선수로 뛸 때도 일본과의 경기는 대부분 이겼고 질 것 같단 느낌을 받은 적이 없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그는 일본 축구의 변곡점이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됐다고 지적했다. 이영표는 “90년대 들어서면서 일본은 점차 위협적인 존재로 바뀌기 시작했다. 지금 일본은 단순한 라이벌이 아닌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서도 강팀으로 인정받는 위치에 올라섰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일본은 2050년 월드컵 우승이라는 장기 프로젝트 아래 국가대표 시스템 전반을 정비했고 그 결과 유소년부터 성인 대표팀까지 전 영역에서 비약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영표는 “일본은 지금도 성장 중이며 시간이 갈수록 더 강해지고 있다. 유럽에서 성공적으로 활약 중인 선수들이 많고 이들이 국가대표팀을 더욱 탄탄하게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히 유럽에 진출한 숫자가 아니라 어느 클럽에서 뛰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일본은 톱리그 명문 구단에서 활약 중인 선수가 많고, 실제 경기력을 통해 세계무대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이건 단순한 추측이 아니라 구체적인 수치와 사례로 증명된다”고 강조했다.
이영표는 일본 대표팀의 경쟁력은 개별 선수들의 퀄리티 향상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라고 봤다. “일본 대표팀은 30년 전보다 20년 전이 강했고 그보다 지금이 더 강하다. 좋은 선수들이 계속해서 배출되고 있으며 그들이 대표팀의 전체적인 수준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축구 역시 일본의 이런 성장에 자극을 받아왔다. 그는 “일본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며 한국 선수들도 자연스럽게 자극을 받았고 이는 개인에게도 한국 축구 전체에도 동기부여가 됐다”고 말했다.
또한 “일본의 성장은 위기의식과 경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 단순한 라이벌 구도를 넘어 우리가 현실을 정확히 보고 따라가야 할 부분도 많다는 걸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과 일본은 오랜 시간 치열한 경쟁을 펼쳐온 아시아의 양대 산맥이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일본이 기술적, 전략적 측면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