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최근 독립성 훼손 위기에 몰렸다가 국내외 반발로 회생한 우크라이나 반부패 기관들이 군용 드론 조달과 관련된 부패 사건을 적발했다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국가반부패국(NABU)과 반부패특별검사실(SAPO)은 이날 소셜미디어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군용 드론 및 신호방해 시스템을 부풀려진 가격에 조달하려던 범행 계획을 적발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현직 의원 1명과 지방 고위 관리 2명, 군 관계자 여러 명이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으며 4명은 체포됐다. 피의자들의 이름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들 기관은 "이 범행의 핵심은 국가가 의도적으로 부풀려진 가격에 공급 업체와 계약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피의자들이 계약 금액의 최고 30%를 리베이트로 받았다고 설명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X·옛 트위터)에서 두 기관 수장으로부터 이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면서 "부패에는 무관용만 있을 뿐이며 이를 적발하고 공정한 형벌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반부패 기관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중요하고, 목요일(7월 31일) 통과된 법이 부패와의 진짜 싸움에 필요한 도구를 보장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앞서 NABU와 SAPO의 독립성을 약화하는 법을 승인했다가 국내 시위에 직면하고 유럽 여러 정부로부터 경고받는 등 정치적 위기에 몰렸던 점을 의식한 언급으로 보인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결국 두 기관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법안을 다시 내놓았고 지난달 31일 의회 통과 직후 서명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지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