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트럼프의 노동통계국장 경질에 "경제의 근간 허물어" 비판 고조

연합뉴스

2025.08.02 14: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트럼프, 예상 밑돈 7월 고용통계에 "조작"…민주당선 "소련인가" 전문가들, 5~6월 고용 증가수 대폭 하향 조정에도 "흔히 있는 일"
트럼프의 노동통계국장 경질에 "경제의 근간 허물어" 비판 고조
트럼프, 예상 밑돈 7월 고용통계에 "조작"…민주당선 "소련인가"
전문가들, 5~6월 고용 증가수 대폭 하향 조정에도 "흔히 있는 일"

(워싱턴=연합뉴스) 홍정규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부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한 것을 두고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고 현지 언론들이 2일(현지시간) 일제히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맥엔타퍼 국장 경질은 전날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지난달 7만3천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는 통계 발표 직후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수치가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그를 해고했는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통계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위협하는 나쁜 선례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맥엔타퍼 국장과 함께 미 인구조사국에서 근무했던 경제학자 마이클 스트레인은 워싱턴포스트(WP)에 "기업, 가계, 투자자 입장에선 정부의 공식 통계가 정확하고 정치적 편향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믿는 게 매우 중요한데, 대통령은 고용통계국과 공식 통계를 정치화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고용통계국장에 임명됐던 윌리엄 비치 전 국장은 뉴욕타임스(NYT)에 이번 경질 조치에 "아무런 근거도 없다"며 "이는 다른 통계의 독립성까지 위협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삼은 5∼6월 고용 증가수의 대폭 하향 조정에 대해서도 통계 수집의 시차를 고려하면 흔히 있는 일이라는 반론이 제기됐다.
초기 고용 보고서는 응답 속도가 빠른 대기업 중심이고, 소규모 기업의 응답이 나중에 추가되면서 전체 수치가 나중에 하향 조정되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이다.
WP는 "6월의 경우 지방의 교육 관련 일자리에 대한 최신 자료가 반영되면서 고용 증가 규모가 급감한 것"이라는 경제학자들의 설명을 전했다.
민주당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여파로 일자리가 줄었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자신에게 불리한 통계를 내놓은 당국자를 내쫓은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뉴욕)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트럼프는 자신을 당장 해고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 의원(매사추세츠)은 엑스에서 "사람들이 좋은 일자리를 갖도록 돕지는 못할망정 트럼프는 나쁜 일자리 수치를 발표한 통계 전문가를 해고했다"며 "왕노릇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리사 로체스터 상원 의원(델라웨어)도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를 두고 "경제 통계를 허무는 것은 더 큰 혼란과 불확실성을 가져올 것"이라며 "매우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크리스 머피 상원 의원(코네티컷)은 "권위주의로 한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옛) 소련이 이렇게 했다"고 말했다.
패티 머레이 상원 의원(워싱턴)은 "경제는 고용통계국 등이 제공하는 정확하고 비정파적인 데이터에 기반한다"며 이번 사안에 침묵하는 공화당을 향해 "고용통계국을 지키기 위한 싸움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고용 사정이 지난 5∼7월 크게 악화했다는 통계가 발표되자 전날 맥엔타퍼 국장이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임명됐으며, 그가 "(지난해)대선 전에 카멀라(해리스 전 부통령)의 승리 가능성을 높이려고 일자리 숫자를 조작"했다고 주장하며 해고했다.
맥엔타퍼 국장의 전격 경질에 따라 고용통계국은 당분간 부국장 대행 체제로 운영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홍정규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