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품수지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성의를 보이지 않은 스위스 대통령에게 화가 나 스위스산 수입품에 대해 39%의 '관세 폭탄'을 부과하기로 결정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달 31일 스위스 시각 오후 8시에 양국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했다고 전했다. 당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무역합의 시간까지 10시간이 남은 상황이었다. 합의가 불발될 경우 스위스는 31%의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다.
이 통화에서 양국 정상의 무역수지에 대한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통화에서 연간 400억 달러(56조 원) 수준인 스위스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를 집중적으로 문제 삼으면서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치는 것과 마찬가지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스위스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카린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은 뚜렷한 제안을 내놓지 않았고, '격노'한 트럼프 대통령은 해 몇 시간 후 스위스에 대해 8월 7일부터 39%의 상호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켈러-주터 대통령은 양국 정상 통화 다음 날인 8월 1일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쳐왔던 것이나 마찬가지이니 무역적자에 상응하는 관세율을 얻어맞아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에 대해 "말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만일 스위스산 상품에 실제로 39% 관세가 적용될 경우, 관세율이 15%에 불과한 유럽연합(EU) 국가들보다 훨씬 불리한 입장이 된다.
블룸버그는 "트럼프가 지난달 31일 통화에서 상품수지 적자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하고 서비스, 외국 투자, 스위스 측의 협조 제안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그림을 보지 않은 것은 스위스 측이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롤렉스, 파텍필립, 오메가 등 스위스산 고가 시계를 구매하려던 미국 소비자들과 유통업체는 충격에 빠졌다. AP통신은 스위스시계산업연맹이 미국의 39% 수입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해 "매우 실망했고 놀랐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평소 롤렉스 등 다양한 스위스산 고가 시계를 착용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스위스의 시계 전문가 올리버 뮐러는 블룸버그에 "게다가 무엇보다 그(트럼프 대통령)는 스위스 시계를 좋아하면서!"라고 한탄했다. 그는 예정대로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 소매가격이 12∼14%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