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충남 폭우피해 3413억원…김태흠 "정부보다 먼저 특별지원금 지급"

중앙일보

2025.08.02 21:30 2025.08.02 22:4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지난달 중순 내린 집중 호우로 3000억원이 넘는 재산 피해가 발생한 충남에서 정부보다 먼저 특별지원금을 지급한다. 피해 주민의 조속한 일상회복을 돕기 위해서다.
지난달 30일 김태흠 충남지사가 폭우 피해를 입은 예산을 찾아 주민을 위로하고 있다. [사진 충남도]
3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16~19일 내린 비로 충남에서는 3413억원(2일 오후 6시 기준)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예산군이 824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산시 556억원, 아산시 413억원, 당진시 385억원. 홍성군 322억원, 공주시 296억원, 천안시 221억원, 청양군 114억원, 서천군 103억원, 부여군 101억원 등이다.



충남 8개 시·군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시급

정부는 지난달 22일 이들 10개 시·군 가운데 예산과 서산 두 곳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난 1일 열린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나머지 8개 시·군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을 요청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에는 주택은 면적에 따라 전파 2200만~3950만원, 반파 1100만~2000만원, 침수 350만원 등의 지원이 이뤄진다. 공공시설 복구비의 70%, 농경지와 농림시설 복구 지원도 대폭 늘어난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배수시설 등 200년 빈도 설계 상향 조정, 피해 주민에 대한 정부 복구 지원 현실화 등을 제안했다.
지난 2일 충남도 박정주 행정부지사(오른쪽)가 아산 폭우 피해 현장을 찾은 행안부 김광용 재난안전본부장에게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충남도]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난달 22일) 특별재난지역 1차 선포 이후 추가 선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기후 변화에 따른 극한 호우로 매년 피해가 반복하는 상황에서 정부 차원의 예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도, 주택·영농시설 등 추가 지원

행정안전부 중앙합동조사단의 현장 조사가 지난 2일 마무리됨에 따라 최종 피해 규모는 오는 19일쯤 확정될 전망이다. 충남도는 폭우 피해를 입은 주민을 위해 이르면 오는 20일쯤 도(道) 차원의 특별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주택의 경우 정부지원에 더해 반파는 최대 6000만원, 침수는 6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영농시설의 경우 정부는 피해액의 35%와 농작물 대파대(새 작물 파종 비용) 50%를 지원하는 데 충남도는 영농시설은 피해액의 70%까지 추가로 지급할 방침이다. 농작물은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3단계로 차등 지원한다.

축산 분야에서는 농가별로 2억원까지 무담보 특례보증을 지원하고 소상공인에게는 상가당 정부지원 300만원에 더해 우선 900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최대 3억원까지 연 1.5%의 저금리 융자 혜택도 제공한다.
지난달 30일 김태흠 충남지사가 폭우 피해를 입은 예산을 찾아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충남도]
김태흠 충남지사는 “주택과 영농시설, 농작물 등 사유시설은 피해를 입어도 법과 규정에 따라 지원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며 “도 차원의 특별지원을 통해 실질적 혜택이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 응급복구율 91.4%…332명 미귀가

한편 지난 1일 기준 충남 지역 폭우 피해 응급복구율은 91.4%(8123건 중 7422건)로 집계됐다. 복구에 동원한 인력은 5만7523명에 달한다. 폭우로 대피했던 225세대 332명의 주민은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신진호([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