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IT 노동생산성, G7중 최대폭 하락…"클라우드기술 도입 늦어"
2019∼2023년 1인당 창출 부가가치 13% 감소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일본 정보기술(IT) 산업 노동생산성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기술 도입 지연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4일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일본생산성센터 집계 결과 2023년 일본 IT 산업 노동생산성은 2019년과 비교해 13% 하락했다.
노동생산성은 노동자 1명이 창출한 부가가치로 측정했으며, 부가가치는 매출에서 제품 생산에 투입된 비용을 뺀 값으로 정의했다.
같은 기간 주요 7개국(G7) 중 미국과 영국 IT 산업 노동생산성은 각각 27%, 9% 증가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IT 산업 노동생산성도 향상됐다.
독일과 캐나다의 IT 산업 노동생산성은 소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G7 중 하락률이 두 자릿수에 달한 국가는 일본뿐이었다.
노동생산성 하락은 노동 인구가 증가했지만 이익은 그만큼 늘지 않았음을 뜻한다.
후지쓰, NEC, NTT 등 일본 IT 기업들은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디지털 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인력도 늘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일본 IT 기업 고용 규모는 2023년 235만명으로 2019년보다 약 20%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일본 IT 부문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는 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일본 IT 산업 성장 둔화는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디지털 서비스로의 전환이 늦어진 탓으로 분석된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널리 도입된 미국 등에서는 사내 기술진이 표준화된 클라우드 기반 구성요소를 활용해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반면에 일본 기업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개발을 외부 IT 회사에 맡긴다.
결과적으로 미국과 유럽 IT 업계는 일본보다 더 빠르게 첨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으며, 일본은 해외 업체 의존도가 높아지고 서비스 비용 지출 증가 등으로 디지털 적자가 확대되고 있다고 닛케이아시아는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강종훈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