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된 것은 없다. 나에게는 그것이 중요하다.” 백은선 시인은 시집 『도움받는 기분』(2021)을 여는 시인의 말에 이렇게 두 문장을 적어 넣었다.
그는 늘 현재의 시점에서 글을 썼다. 2012년 등단한 이래 시집 『가능세계』(2016),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는 장면들로 만들어진 필름』(2019), 『도움받는 기분』(2021), 『상자를 열지 않는 사람』(2023)을 냈고, 각각의 책에서 시인의 시선은 미묘하게 다르다.
백은선은 솔직한 형태로 길어올린 마음을 언어로 빚어낸다. 이 특징은 산문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첫 산문집 『나는 내가 싫고 좋고 이상하고』(2021)에서 “나는 내가 싫다. 나는 내 삶이 싫으면서 좋다. 나는 내 선택을 후회하면서 안도한다”고 말하는 백은선은 거침없는 문장으로 독자의 공감을 끌어냈다.
그런 그가 신간 『뾰』(2025·사진)로 4년 만에 산문을 내놓았다. 출간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 중앙일보에서 만난 백은선 시인은 “(첫 산문집에서 말한 것처럼) 산문집을 다시는 안 내려고 했는데, 그 이후 산문 청탁이 많이 들어왔다”고 했다.
정확히 말하면 『뾰』는 시집도 산문집도 아니다. 시인의 글을 하루 한편씩 읽을 수 있도록 모아 매달 책 한권으로 펴내는 출판사 난다의 시리즈 ‘시의적절’ 8월호다. 책에는 백은선의 산문과 시는 물론 일기, 단상, 편지, 단편소설까지 실려있다. 지난해 난다 대표 김민정 시인의 1월호를 시작으로, 전욱진·신이인 시인과 오은·서효인·유희경 시인 등이 각각 한 달에 한 권 씩을 채웠다.
표제작 시 ‘뾰’는 “입을 꿰매주는, 세상에 하나 뿐인 가게를 찾아 떠나는” 내용이다. 시 앞에 실린 단상(斷想)에서도 밝혔듯 이 시는 자신의 시집 『상자를 열지 않는 사람』을 읽은 독자의 악평을 보고 울며 쓰기 시작한 시다. 그러나 시에서 울분과 화가 느껴지진 않는다. 백 시인에 따르면 “시는 항상 의도를 배반하는 장르”이며 “시인은 어디로 시가 나아갈지 모르는 채로 쓰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내 안에 들이고 싶지 않으면서도, 모든 걸 토해내듯 다 꺼내 보이고 싶은 양가적인 마음을 ‘뾰’라는 시로 보여주려 했다.”
시와 산문을 번갈아 읽다보면 백은선 시인를 더욱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시인은 “산문을 쓸 땐 더 솔직하고 가감 없이” 썼고, “시를 쓸 땐 어떻게 말하느냐보다 어떻게 말하지 않느냐”를 고심했다고 했다.
그는 “『가능세계』 이후 ‘시가 친절해졌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며 “엄마가 되어 더 다정해지고, 수다스러워지고, 밝아져서 그런 것 같다. 처음엔 그 변화가 싫어 부정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별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시인은 올해 11살 된 아이와 함께 살고 있다. 쉬운 언어를 사용하고, 동화책을 자주 접한다. 엄마로 살아가며 생긴 이런 변화가 작품에도 자연스럽게 묻어난다.
『뾰』를 읽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하루 한 편 씩, 글이 쓰여진 대로 음미하는 것이다. 8월을 내리 함께할 독자들에게 백은선 시인은 이렇게 말하고 싶었다. “살다보면 살아진다. 그것의 증거가 되고 싶다”고. “매일매일 애쓰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책이 됐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