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북, 주민 시신 판문점 인도 요청에 무응답…정부 "무연고자 처리"

중앙일보

2025.08.05 00:21 2025.08.05 01:5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판문점. 뉴스1

정부가 북한에 주민 시신 인도 요청을 했지만 아무런 답도 듣지 못했다.

통일부는 5일 “당초 예고한 시한인 오늘 오후 3시까지 북한의 응답이 없었다”며 “북한 주민 사체 처리 지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연고자 사체 처리 절차에 의거 정중하게 장례를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지난달 29일 언론공지를 통해 “6월 21일 인천 강화 석모도 해안에서 북측 주민으로 보이는 사체 1구를 발견해 인근 병원에 안치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통일부는 시신에서 발견된 임시증명서를 토대로 해당 남성 주민의 이름은 고성철이고, 1988년 10월 20일에 태어났으며,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 21-1반에 거주하고 있는 농장원이라고 설명했다. 유류품엔 군인용 솜동복 및 배지 등이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우리 측은 인도주의와 동포애 차원에서 시신과 유류품을 8월 5일 15시에 판문점을 통해 귀측에 인도하고자 하니, 북측은 남북 통신선을 통해 입장을 신속히 알려주기를 바란다”라고 했다.

언론을 통해 북한에 입장을 묻는 이유에 대해선 “남북통신선이 단절된 상황에서 대북 통지문 발송이 어려운 상황인바, 이에 언론을 통해서 대북 통지 내용을 통보한다”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앞서 이같은 내용을 유엔사를 통해 북한에 통보했지만, 그때도 별다른 답변을 듣지 못했다. 또 정부가 판문점에서 가동됐던 직통전화 방식의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연락채널을 통해 4일에도 오전·오후 각각 한 차례씩 북측과의 소통을 시도했으나, 북측은 통화에 응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이날 북한이 시신 인도 요청에 응답하지 않음에 따라 유전자 검사 뒤 화장해 무연고 장례를 치를 계획이다. 유전자 검사는 향후 가족관계 확인에 필요할 수 있어서다.

지난해 정부는 ‘북한 주민 사체 처리 지침’(국무총리 훈령)을 개정해 북한 주민 시신의 유전자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2010년 이래 발견된 북한 주민 추정 시신은 총 29구다. 그 가운데 6구(2017년 2구, 2019년 1구, 2022년 1구, 2023년 2구)는 북한이 인수하지 않았다. 마지막 북한의 시신 인수는 2019년 11월이었다.

북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뉴스1

한편 북한은 이재명 정부에 대한 첫 반응을 내놓은 지난달 28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에서 이 정부의 대북 유화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고 공식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 직후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고, 지난 4일 확성기까지 철거하면서 잇따라 대북 유화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조문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