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부산서 결론 못 낸 플라스틱 협약 협상 제네바서 재개
180개국 참석해 14일까지 회의…플라스틱 생산 감축 의무화 쟁점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플라스틱 오염 종식 국제협약 성안을 위한 회의가 180개국 협상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다고 AP·AFP통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플라스틱 오염에 대응할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을 만들기 위한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 속개 회의(INC-5.2)'로, 14일까지 진행된다.
협상 핵심 쟁점은 플라스틱 생산 감축 의무화 여부다.
플라스틱이 대부분 화석연료로 만들어지는 만큼, 대부분 산유국은 생산 감축에 반대하며 제품 재설계, 재활용, 재사용만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일부 국가와 대기업들은 제품 재설계나 재활용만으로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에 역부족이라는 입장이다.
협상위원회 의장인 루이스 바야스 발디비에소 주영국 에콰도르 대사는 "아무도 플라스틱 오염을 원하지 않지만 아직 이를 체계적으로 막을 방법을 찾지 못했다"며 "사상 처음으로 전 세계가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 조약을 채택할 기회가 찾아왔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는 지구적 위기에 직면했다"며 "플라스틱 오염은 생태계를 파괴하고, 바다와 강을 오염시키며,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고, 인류 건강에 해를 끼치고, 가장 취약한 이들에게 부당한 피해를 안긴다"고 덧붙였다.
유엔에 따르면 매년 1천900만∼2천300만t에 이르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 생태계에 유입되며,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2040년까지 이 수치는 50% 증가할 수 있다.
앞서 국제사회는 2022년 3월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하는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2024년까지 마련키로 합의했다.
협약을 성안하기 위한 협상은 5차례 벌이기로 했는데, 마지막 담판으로 예정됐던 작년 11월 부산에서의 5차 협상위가 결론을 내지 못하고 끝났다.
주요 의제인 플라스틱 생산 규제를 비롯해 '우려 플라스틱·화학물질' 관리, 개발도상국의 협약 이행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특히 핵심 중 핵심인 '1차 플라스틱 폴리머'(화석연료에서 추출한 플라스틱 원료 물질)와 관련해 100여개국이 '부속서로 생산 감축 목표를 설정하는 방안'을 지지했지만, 산유국들이 생산 규제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번 제네바 협상도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타결 여부가 주목된다.
잉거 앤더슨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은 AFP에 "부산 (협상) 이후 지금까지 활발한 외교적 노력이 이어졌다"며 "내가 만난 대부분 국가는 이번에 반드시 합의하겠다는 입장이며, 쉽지는 않겠지만 합의를 위한 길은 확실히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아람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