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文 예방, 盧 참배…임기 초반 진영 결속부터 다지는 정청래

중앙일보

2025.08.07 02:31 2025.08.07 03:3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경남 양산 평산마을을 찾아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11시쯤 민주당 최고위원들과 문 전 대통령을 만나 문재인 정부 시절 국정운영 등과 관련해 약 한 시간 가량 환담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7일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에서 문 전 대통령을 예방,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전 대통령은 “이번에 안정적으로 정권을 출범시켜서 여러 가지 개혁 과제들을 해낼 수 있을 것 같다. 당원과 대의원의 높은 지지를 받고 당선돼 축하한다. 잘해달라”고 당부했다고 권향엽 민주당 대변인이 전했다. 문 전 대통령은 또 “내년 지방선거에 대해서도 국민의 기대가 높다”며 “특히 부산·울산·경남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잘하면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변화가 있을 수 있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정 대표는 “지금까지 뵌 것 중에 가장 목소리가 크시다. 편하신 것 같다”고 화답했다. 이어 “민주주의와 평화는 경제 발전의 토대”라며 “문재인 정부에선 대통령이 평양에 다녀오는 등 남북교류 협력을 했었는데, 지난 3년간 그 토양이 많이 무너진 것 같아 아쉽다. 그런 부분을 잘 복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문 전 대통령이 사면을 건의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사면·복권과 관련한 대화는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권 대변인은 “사면에 대해선 일체 언급이 없었다. 정 대표와 문 전 대통령 모두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을 찾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며 울먹이고 있다. 뉴스1
정 대표는 문 전 대통령 예방에 앞선 오전 9시엔 경남 김해 봉하마을의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를 만났다. 정 대표는 노 전 대통령의 묘역 앞에서 신발을 벗과 헌화한 뒤 두 차례 큰 절을 했다. 상기된 표정으로 울먹이는 모습도 보였다. 방명록에는 “노무현 대통령님! 정청래입니다. 잘 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권양숙 여사를 만난 자리에선 정 대표가 방송인 김어준씨 등과 함께 과거 권 여사로부터 선물 받은 대통령 기념 시계가 대화 소재가 됐다. 정 대표가 “시계가 매주 5분씩 늦어져서 고쳤더니 2년 전부터 시계가 잘 맞는다”고 하자, 권 여사가 “시간을 제때제때 맞춰서 일을 제대로 잘하라”고 덕담했다고 권 대변인은 전했다. 정 대표는 2002년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노사모)에 가입해 정치권에 발을 들인 뒤 2004년 17대 총선을 통해 처음 국회의원이 됐다. 정 대표는 이같은 이력을 언급하며 “과거 노사모들이 당 대표 선거에서 많이 도움을 줬다”는 언급도 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를 예방해 권양숙 여사와 대화를 하고 있다. 뉴스1
정 대표는 지난 2일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뒤 진영 통합 행보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4일에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친(親) 민주당 성향의 군소 야당 대표들을 잇따라 만났다. ‘검찰 개혁’ 입법도 추석 전 완료를 목표로 속도전에 돌입했다. 전날(6일) ‘국민주권 검찰 정상화 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킨 데 이어, 7일에는 정부와 법안에 대한 구체적 협의에 착수했다. 이춘석 전 법사위원장이 주식 차명 거래 의혹으로 물러난 자리엔 법무부 장관으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추진했던 추미애 민주당 의원을 내정했다.

정 대표는 반면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과 개혁신당과는 내란정당이란 이유 등으로 접촉을 않고 있다. 정 대표의 이같은 ‘내편 정치’에 대해선 당 내부에서도 시선이 엇갈린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비상계엄에 대한 제대로 된 사죄나 반성도 없는 국민의힘과 협치는 시기상조”(재선의원)라는 의견이 적지 않지만, “정당 해산까지 언급하며 아예 만남을 거부하면 진영 싸움이 심화돼 결국 정부·여당에 부담이 돌아올 것”(초선의원)이란 주장도 나온다.



한영익.조수빈([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