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中 세계로봇콘퍼런스 베이징서 개막…신제품 100여종 첫 공개

연합뉴스

2025.08.07 23: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엔비디아 등 220여 기업 참가…자율주행차 타고 빗속 관람객 행렬 세계 첫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점도 문열어…다양한 이색로봇에 눈길
中 세계로봇콘퍼런스 베이징서 개막…신제품 100여종 첫 공개
엔비디아 등 220여 기업 참가…자율주행차 타고 빗속 관람객 행렬
세계 첫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점도 문열어…다양한 이색로봇에 눈길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중국이 올해를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원년으로 선언한 가운데 수도 베이징에서 세계로봇콘퍼런스(WRC)가 8일 개막했다.
관영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전자학회와 세계로봇협력기구가 공동 주최하는 WRC가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베이징이좡·北京亦莊)에서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를 포함한 약 220개 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이날 막을 올렸다. 행사는 닷새 일정으로 오는 12일 폐막한다.
'로봇을 더 스마트하게, 체화(임바디드) 주체를 더 지능적으로'라는 주제로 열리는 올해 행사에서는 로봇 1천500여종이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특히 첨단 로봇 100여종은 처음 공개되는 신제품으로, 4족 보행 로봇, 구조용 로봇, 잔디깎이 로봇 등 다양한 제품군이 포함됐다.
로봇 분야 과학자와 국제기구 대표, 기업가 등 400여명이 참석해 기조연설과 패널 토의 등을 통해 첨단 기술·산업 동향과 응용 사례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제어 로봇 대회, 청소년 로봇 디자인 대회 등 다양한 경연대회도 열린다.
엔비디아는 갤봇, 유니트리, 중젠커지(中堅科技) 등 중국 로봇 업계 협력 파트너들과 피지컬 AI 및 범용 로봇 분야에 대한 구상을 발표할 예정이다.
엔비디아의 옴니버스·시뮬레이션 기술을 담당하는 레브 레바레디언 부사장이 오는 9일 오전 기조 기조연설을 통해 직접 밝힐 것으로 보인다.
이날 행사장에서 운전기사가 따로 없는 자율주행 미니버스가 방문객들을 태우는가 하면, 로봇이 내려주는 커피를 마시고, 실시간으로 벌어지는 로봇들의 격투 경기를 관람했다.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성공으로 인한 AI 열풍과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로봇 붐 등을 반영하듯 빗속에 많은 인파가 행사장에 몰리면서 입장이 지연됐다고 매일경제신문 등 중국 현지매체들은 전했다.
2014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로봇을 제조업의 백미라고 명명한 뒤 중국 정부 주도로 2015년 처음 개최된 세계 로봇 콘퍼런스는 코로나19가 심각하던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열려 올해로 10회째를 맞았다.
WRC 개막에 앞서 부대행사로 휴머노이드 로봇은 물론 산업·의료·생활보조·반려·교육·놀이·건강관리·요양지원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을 직접 보고 구매할 수 있는 '로봇 소비축제'(2∼17일)도 진행 중이다.
이번 행사 개막에 맞춰 세계 최초로 문을 여는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판매점인 4S점(店)도 주목받고 있다.
이날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 내에서 정식으로 개장한 4S 매장은 총 4천㎡ 규모의 4층짜리 건물로, 1층 엄선한 로봇 전시 구역, 2층 미래 인터랙션 구역, 3층 스마트 유지보수 구역, 4층 프리미엄 상담 구역 등으로 꾸며졌다.
'4S'는 판매(Sale)·부품(Sparepart)·사후서비스(Service)·조사(Survey)를 뜻하는 중국의 자동차 판매 모델에서 비롯된 용어다.
매장에는 세계적인 천재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을 그대로 본뜬 휴머노이드 로봇과 체스 파트너, 반려 로봇견 등 다양하고 이색적인 로봇들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고객들은 매장에서 톈궁, 유비테크, 유니트리 등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브랜드들의 대표 모델들을 직접 볼 수 있다.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이 로봇들의 가격대는 2천위안(약 38만원)부터 수백만위안(수억원)에 이르렀다.
4S 매장은 AI와 로봇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주자가 되겠다는 중국의 야심을 보여주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짚었다.
중국 정부는 앞으로 AI와 로봇 스타트업 등의 분야에 1조위안(약 193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108건의 투자 또는 자금 조달이 이뤄졌으며, 누적 금액은 153억5천만위안(약 2조9천600억원)에 달했다고 CCTV는 보도했다.
또 지난해 기준 중국이 전 세계 로봇 관련 특허 출원의 3분의 2를 차지했으며, 산업용 로봇 55만6천대를 생산해 11년 연속 세계 최대 로봇 제조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권숙희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