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유니트리 CEO "빠르면 3년안에 로봇산업 '챗GPT 모먼트' 올것"
베이징 로봇대회서 언급…"AI모델 아키텍처 발전이 관건"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 로봇 산업 선두주자 유니트리(宇樹科技·위수커지)의 최고경영자(CEO)가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비약적 성과가 수년 안에 나올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10일 차이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왕싱싱 유니트리 CEO는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2025 세계로봇대회 포럼에서 올해 상반기 중국 로봇 업계가 완제품·부품 제조사를 아울러 평균 50∼100% 성장을 기록했다며 "현재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실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신체를 가진 인공지능)이 처한 단계는 챗GPT가 탄생하기 전 1∼3년과 같다"고 말했다.
업계가 발전 경로 밑그림을 그려내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성과는 아직 나오지 않은 단계라는 것이다.
왕 CEO는 "체화지능이 챗GPT와 유사한 임계점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기준은 어떤 휴머노이드 로봇이 낯선 환경에 들어갔을 때 사용자의 임의 명령을 이해해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여부)"이라며 "이날은 빠르면 1∼3년이면 실현 가능하고, 늦어도 3∼5년이면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로봇 본체의 하드웨어는 쓸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만, 최대 도전은 체화지능의 지능 정도가 언어 모델에 크게 못 미친다는 점"이라며 "체화지능의 대형모델은 현재 쓸 수 있을 만큼 충분치 않다"고 설명했다.
대형언어모델(LLM)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방대한 텍스트와 이미지, 영상을 통해 훈련되는데, 물리 세계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체화지능 발전의 최대 난관은 '충분한 데이터의 부족'이라는 것이 업계의 통상적인 인식이었다.
하지만 왕 CEO는 "데이터는 결코 부족하지 않다. 부족한 것은 체화지능에 적용되는 모델 아키텍처"라고 반박했다.
업계에선 LLM이 데이터 규모를 지속해 확대함으로써 지능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체화지능에도 적용될 것이라고 봤지만, 실제로는 데이터가 있어도 훈련에 활용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아울러 왕 CEO는 구글이 이달 6일 발표한 '지니3' 모델이 현재 가장 주목 받는 방향이라고 언급한 뒤 "이 모델은 비디오로 구동되는 세계 모델로, 로봇회사들은 유사한 모델로 생성된 비디오로 로봇을 실제 환경에서 제어할 수 있다"면서 "유니트리는 이런 시도를 이미 진행 중"이라고 했다.
왕 CEO는 체화지능이 직면한 또 다른 난관으로 체화지능 영역에서는 스케일링 법칙(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와 연산이 늘어날수록 AI 모델 성능이 향상된다는 법칙)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아 각 작업을 수행하려면 별도의 훈련 모델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꼽았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성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