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시대가 열렸습니다. 새로운 정권이 시작되면 권력의 지도가 바뀝니다. 이재명의 옆에는 어떤 실세들이 포진하고 있을까요. 그들은 어떤 대한민국을 만들어 갈까요.
이재명 정권의 키맨을 한명씩 해부합니다. 각자 어떤 분야를 책임지고 어떤 권한을 갖고 있는지, 대통령과 그들의 인연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얼마나 끈끈한지 알려드립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이재명의 사람들’ 시리즈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의 사람들⑲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
」
“윤 팀장님…민주당에서 박정희는 금기예요. 아시면서요.”
침묵을 깨고 누군가 입을 열었다. 팀장이라 불린 남자가 가져온 하얀 A4 용지 속 빽빽한 글자를 들여다보는 이재명 캠프 메시지팀원들의 미간이 저마다 좁혀졌다.
흰 종이 속, 한 줄이 형광펜으로 강조돼 있었다.
‘박정희면 어떻고, 김대중이면 어떻나? 정책에는 빨간 정책도 파란 정책도 없다….’
20대 대선을 한 달 남긴 때였다. 상대 당이 내세운 검찰총장 출신 후보는 특유의 걸걸하고 시원시원한 언행으로 인기를 높여갔다. ‘정치 초보’라고 얕볼 게 아니었다. 한겨울, 코로나19의 한복판에 민심은 얼어붙었고, 선거운동은 제한됐다. 중도층은 이쪽에도 저쪽에도 눈살을 찌푸렸다. 하루걸러 발표되는 여론조사에서도 양측은 오차 범위 내를 맴돌 뿐 약진하지 못했다.
소년공 출신, 사이다 발언, 경기도지사 업적…이런 수사들로만 꿈쩍 않는 중도층 마음을 흔들 수 없지 않나. 중도층이, 중산층이 아니 부자들마저도 ‘이재명도, 민주당도 괜찮겠다’ 믿게 해야 했다.
간밤 이런 고민에 머리를 싸매고 텅 빈 사무실에 남아있던 그에게 문득 떠오른 이름이 ‘박정희’였다. 왜 우리는 박정희를 말하지 못하나. 눈앞이 트이는 느낌 속에 연설문 초안을 휘갈겨 쓰기 시작했다.
하지만 회심의 연설문을 제안하자마자 빗발치는 반대는 윤 팀장의 기를 꺾고 있었다. “‘흑묘백묘(黑猫白猫)’라는 좋은 말이 있다”부터 “박정희 얘기를 굳이 하냐”까지…틀린 말들은 아니었다.
무난하게 갈까, 질러볼까. 십여분을 고민한 끝에 윤 팀장은 책상에서 종이를 그러쥐고 후보 방을 향해 성큼 걸음을 옮겼다. ‘퇴짜 맞을 땐 맞아도, 내밀어나 보자.’
“어 윤 팀장님 줘보세요.”
방문을 열고 들어간 그가 내민 종이를 이재명이 받아들었다.
“좀 논란은 있을 수 있습니다.”
변명 같은 말을 재빨리 덧붙이자 이재명이 고개를 들어 그를 잠깐 쳐다봤다. 그리고 말했다.
“뭐…맞는 말이네. 좋은데? 그냥 하죠.”
‘비주류’에서 민주당의 강력한 대선 후보로, 다크호스처럼 나타난 이재명이 당의 오랜 금기를 깨는 순간이었다. 석패한 20대 대선에서도, 결국 승리한 지난 대선 때도 이재명은 “박정희 정책이라도 좋으면 쓴다”며 이념보단 실용 중시의 이미지를 강하게 인식시켰다. 그리고 그 균열의 계기를 만든 건 이재명의 메시지 팀장 윤종군이었다.
이제는 대한민국 대통령과 초선 국회의원이 된 두 사람의 첫 만남은 2020년 12월, 경기도청에서다. 이때로부터 3년 전 문재인과 이재명이 민주당 대선 후보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싸운 경선에서 윤종군은 문재인 캠프 연설문을 담당했다. 당선된 문 대통령을 따라 청와대 연설비서관실 행정관까지 지냈다. 행정관을 그만두고 안성시장 선거에 나갔지만 낙선해 앞날을 고심하던 때, 오래 알던 지인이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제2정무수석을 뽑으니 지원해보라 귀띔해왔다. 백수나 다름없던 처지. 거절할 명분이 떠오르지 않았다.
“그 길로 서점에 가서 ‘이재명’ 이름 들어간 책은 다 찾아서 사 왔죠. 일고여덟권인가, 며칠 안에 읽어치웠어요. 그 전엔 이재명이란 사람 잘 몰랐죠. 경선에서 난 문재인 쪽이었으니 사실 이미지가 좋지 않았고요. 사람이 좀 호전적이다, 거칠다 생각했었죠.”
혹시 내정된 사람이 있는데 공채 들러리나 서주는 게 아닐까 반신반의로 지원했지만, 결과는 뜻밖의 합격이었다. 합격한 이유는 임명장을 받던 날 알게 됐다. 임명장을 건넨 이재명 지사가 악수를 하며 말했다.
“윤 수석님, 내가 부족한 부분이 있어요. 내가 민주당을 이끌어온 주류들과 인연이 약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