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맥도날드는 지난 2021년부터 4년간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버거 제품을 통해 해당 지자체들이 확보한 브랜드 가치를 11일 공개했다. 지역의 특색 있는 식자재를 활용한 로코노미(로컬+이코노미)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가운데 이를 통한 지자체의 성과를 수치화한 것이다.
━
특산물 경제효과 환산해보니
한국맥도날드는 전문 기관(트리플라잇)에 의뢰해 ‘한국의 맛’ 프로젝트의 사업 성과를 화폐가치로 환산했다. 이 회사는 지난 2021년 창녕 마늘을 재료로 사용한 창녕갈릭버거를 시작으로 보성녹돈버거, 진도대파크림크로켓버거, 진주고추크림치즈버거 등 각 지자체의 특산물을 활용한 시즌 제품을 해마다 선보이고 있다.
가장 큰 효과를 본 지자체는 창녕군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2024년까지 창녕군은 한국맥도날드에 마늘을 공급하며 15억원의 추가 매출을 올렸고, 이로 인해 농가 소득이 3억9000만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에 창녕 마늘을 알리며 지자체 인지도를 높이는 부수익도 얻었다. 진도의 경우 대파 매출(1억8000만원)로 인해 농가 소득이 증가(14억5000만원)했고 지자체도 산지의 농산물 폐기비용 지원액(4억6000만원)을 아낄 수 있었다.
회사 관계자는 “지역 농가와 협업해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고객에게도 맛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었다”며 “이를 통해 실제 지역사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뜻깊다”고 말했다.
━
기업도 일석이조
로코노미 제품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과도 맞닿아 있다. 2016년 로컬푸드 신메뉴를 처음 내놨던 스타벅스는 2022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 동반성장위원회,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과 손잡고 한라문경스위티, 리얼공주밤라떼, 옥천단호박라떼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음료를 개발한 뒤, 전국 소상공인 카페에 레시피와 원부재료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파리바게뜨의 제주마음샌드, 편의점 CU의 특산물 간편식 시리즈, GS25의 ‘부산의 맛’ 간편식 시리즈 등도 지자체의 특산물을 활용한 특색 있는 제품으로 지역 농가의 판로 개척을 돕고 있다.
중기부는 2020년부터 로컬크리에이터(지역가치창출가) 육성 사업을 통해 지역 로코노미 소상공인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업체 규모상 대기업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점이 로코노미 소상공인의 약점으로 지적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는 “로코노미 제품이야말로 지방 특성을 잘 알고 있는 소상공인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품목”이라며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이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는 만큼 지자체가 해당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