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처음부터 강성 유튜버와 교감했던 건 아니었다. 취임 초기 6개월간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도 하며 소통을 시도했다.
그러나 지지율이 하락하고 보수 매체들까지 비판적으로 돌아서면서 달라지기 시작했다. 김웅 전 국민의힘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이 유튜브에 중독된 결정적 계기를 두 가지로 꼽았다.
" 첫째, 2023년 7월 김건희 여사 일가 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이 터졌다. 이때부터 그해 말까지 채 상병 사건, 홍범도 흉상 이전 논란, 김태우 사면 공천, 김건희 명품백 수수 의혹까지 줄줄이 터진다. 그러면서 보수 매체가 돌아섰고, 이즈음 극렬 유튜버들을 용산에 불러 술자리까지 갖기 시작했다고 한다. 또 하나가 한동훈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다. 언론도, 당도 자기 말을 안 듣는다고 봤다. 검찰 선배들이 윤 전 대통령을 만나고 올 때마다 ‘큰일이다, 대통령이 우리 얘기도 안 듣고 유튜버들 말만 듣는다’고 탄식했다. 바른말 해주는 사람들이 하나둘 떠났다. "
윤 전 대통령과 밀접하게 소통해 온 한 보수 패널은 대통령과 극렬 유튜버를 밀착시킨 건 결국 김건희 여사 문제였다고 분석했다.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한 대표에 대해 불만을 엄청나게 토로했다. 결국 김 여사 문제였다. ‘마리 앙투아네트’ 발언이 결정적이었다. 윤 전 대통령이 그야말로 격앙했다. 김경율이 계획적으로 터뜨렸다고 본 거다. ‘총선 이후 김 여사 특검법 수용 검토’ 단독 기사가 메이저 신문에 나왔는데 이것도 한동훈이 흘렸다 생각했다. 여사가 문자했는데 씹어버리고 하니까 ‘이제 완전히 등지려 하는구나’ 판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