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최이정 기자]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故로빈 윌리엄스가 사망 11주기를 맞았다.
할리우드의 전설적인 배우이자 코미디언 로빈 윌리엄스가 세상을 떠난 지 11년이 지났다. 여전히 팬들의 가슴 속에서 그는 ‘웃음’과 ‘감동’의 대명사로 남아 있다. 故로빈 윌리엄스는 지난 2014년 8월 12일 오전, 미국 캘리포니아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향년 63세. 경찰, 응급 처치 요원 등이 이날 낮 12시께 현장에 도착했지만 이미 그의 호흡은 멈춘 상태였다. 루이바디 치매(Lewy Body Dementia)라는 뇌 질환과 이로 인한 우울증으로 고통받던 윌리엄스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자택에서 63세의 나이로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윌리엄스는 1970년대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에서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 경력을 시작해, 시트콤 ‘모크와 민디(Mork & Mindy)’에서 엉뚱한 외계인 모크를 연기하며 전국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후 그는 영화 ‘굿모닝, 베트남’(1987)에서 반항적인 군 방송 DJ 에이드리언 크로나우어, ‘죽은 시인의 사회’(1989)에서 시와 자유를 가르치는 존 키팅 선생, ‘후크’(1991)에서 어른이 된 피터팬, ‘알라딘’(1992)의 지니, ‘미세스 다웃파이어’(1993)의 변장한 아버지로 변신하며 코미디와 드라마를 넘나드는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줬다.
[사진]OSEN DB.
1998년에는 ‘굿 윌 헌팅’에서 상처 많은 청년을 치유하는 심리치료사 숀 맥과이어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인섬니아’(2002)와 ‘원아워 포토’(2002)에서 연쇄살인범과 집착적인 사진기사 등 어두운 캐릭터를 소화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의 유머와 에너지는 ‘주만지’(1995), ‘버드케이지’(1996), ‘박물관이 살아있다’ 시리즈(2006~2014)에서도 빛을 발했다. 특히 마지막 작품 중 하나였던 ‘박물관이 살아있다: 비밀의 무덤’에서는 많은 동료 배우들이 그의 존재감이 작품의 핵심이었다고 회상했다.
특히 '죽은 시인들의 사회'에서 성공적인 미래를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하는 제자들에게 '카르페 디엠(오늘을 살라)'를 역설하며 변화를 이끄는 선생 존 키팅 역을 맡아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긴 바 있다.
[사진]OSEN DB.
그의 딸 젤다 윌리엄스는 아버지의 재능과 창의성을 이어받아 2024년 장편 연출 데뷔작 ‘리사 프랑켄슈타인’을 선보이며 예술적 유산을 잇고 있다.
세월이 흘러도 로빈 윌리엄스는 여전히 ‘누군가의 마음속 피터팬’이자, ‘웃음 뒤의 따뜻한 눈물’을 선물한 배우로 기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