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은 최근 3년간 여름철(7~9월) 벌집 제거 출동이 54% 증가하고, 벌 쏘임 환자 이송이 7.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8월이 연중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벌집 제거 출동은 2022년 19만3986건에서 2024년 30만4821건으로 연평균 25.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벌 쏘임 환자 이송도 6953건에서 7573건으로 연평균 4.4% 늘었다.
벌집 제거로 인한 소방당국의 출동 건수는 8월에 집중됐다. 지난해 8월 벌집 제거 건수는 11만4421건, 벌 쏘임 환자 이송은 2225건으로 한 달 기준 최다를 기록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벌집 제거 출동과 벌 쏘임 이송 건수 모두 줄었으나, 10일 기준 벌 쏘임 이송 건수는 일평균 54건으로 최근 3년간 최다였던 2022년 8월 22~28일의 일평균 107건의 50%를 넘어섰다.
특히 벌 쏘임으로 인한 심정지 환자는 지난 10일까지 총 8명이 발생했으며, 현재 추세라면 연간 10명 이상 발생했던 예년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3년간 심정지 환자는 모두 50대 이상이었으나, 올해는 40대 남성도 발생했다. 소방청은 벌 독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나이에 상관없이 심정지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벌침에 쏘였을 경우 꿀벌은 침이 피부에 박히므로 즉시 제거하고 상처 부위를 소독·냉찜질해야 한다. 반면 말벌은 침이 박히지 않지만, 독성이 강해 곧바로 119에 신고해야 한다.
김재운 소방청 구조과장은 “벌 쏘임 사고는 단순히 피부 상처로 끝나지 않고, 메스꺼움, 어지럼증, 전신 두드러기, 심하면 호흡곤란 등 치명적인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며 “벌에 쏘였을 경우 바로 119로 신고해 응급처치 요령을 안내받고 구급 출동을 요청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기사는 구글의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