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이동통신 3사가 손 잡고 국내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통신 3사는 올해 AI 분야에만 2800억원 이상 투자할 방침이다.
━
무슨 일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의 AI 분야 투자 확대 계획과 협력 의지를 발표하는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행사에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해 KIF(코리아IT펀드) 출자사인 통신사 대표들, KIF 운영·관리를 총괄하고 있는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부회장, KIF투자운영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KIF는 2002년 이동통신 3사(SKT·KT·LG 유플러스)가 총 3000억원을 출자해 만든 민간 모펀드다.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스타트업 등에 투자할 자펀드를 운영하며 민간투자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지난해까지 누적 91개의 자펀드를 결성, 1669개 유망 ICT 스타트업에 4조7000억원을 투자했다. 존속기간은 당초 2030년까지였으나 2040년 말까지 연장됐다. 이에 따라 신규 자펀드 결성은 올해부터 재개할 방침이다.
━
이게 왜 중요해
KIF는 그동안 소프트웨어(SW)·정보통신기술(ICT)·기술사업화 등에 투자했으나 이번엔 AI에 집중투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올해 KIF 모펀드에서 1500억원을 신규 출자하고, 운용사(LP)들에서 1500억원 이상을 출자해 총 3000억원 이상의 자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다. 이 중 2400억원 이상을 AI 핵심·기반기술 및 AX(AI 전환) 관련 유망 AI 기업 육성 등에 중점 투자한다. 400억원 규모의 AI반도체 전용 펀드와 ICT 기술사업화 촉진 및 성과 확산을 위한 200억원 규모의 펀드도 조성한다. 자펀드 3000억원 중 90% 이상을 AI에 투자해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 국정과제에 발맞추겠다는 것이다.
배 장관은 “AI 데이터센터 등 관련 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감면, 규제 개선 등으로 민간 사업을 지원할 것”이라며 “이통 3사와 원팀이 돼서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