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캐나다산 유채씨·할로겐화부틸고무에 임시 반덤핑 조치
日할로겐화부틸고무도 덤핑 예비판정…加완두전분도 반덤핑조사 개시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중국 상무부는 12일 캐나다산 유채씨와 할로겐화부틸고무, 일본산 할로겐화부틸고무를 대상으로 잠정 덤핑 판정을 내리고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게재한 반덤핑 조사 예비판정 고시문에서 "조사 결과 캐나다산 유채씨에 덤핑이 있어 중국 내 해당 산업에 실질적 피해가 발생했으며, 덤핑과 피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초기 판단을 내렸다"며 관련 규정에 따라 보증금 형태로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오는 14일부터 캐나다산 유채씨를 수입할 때 수입업자는 75.8%의 보증금을 중국 세관에 내야 한다.
중국은 지난해 8월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100%, 철강·알루미늄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같은 해 9월 캐나다산 유채씨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다.
또 올해 3월에는 일부 캐나다 농수산 제품에 25∼100%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유채씨는 카놀라유 원료로 캐나다가 최대 수출국 중 하나다. 중국은 캐나다산 유채씨의 주요 수입국이다.
상무부는 이날 캐나다·일본·인도산 할로겐화부틸고무(halogenated butyl rubber) 반덤핑 조사 예비판정 결과도 발표했다.
상무부는 캐나다산과 일본산 수입 할로겐화부틸고무에 덤핑이 있어 국내 산업에 피해를 야기했다며 14일부터 캐나다산에는 26.2∼40.5%, 일본산에는 13.8∼30.1%의 보증금을 각각 부과한다고 밝혔다.
다만 인도산 할로겐화부틸고무는 수입량이 미미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반덤핑 조사를 종료하기로 했다.
할로겐화부틸고무는 튜브가 없는 튜브리스타이어와 약병 마개, 충격 방지 패드, 접착제 등 제품 소재로 사용된다. 중국은 지난해 9월부터 이들 3개국에서 수입하는 할로겐화부틸고무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진행해왔다.
상무부는 또한 관련 업계 신청에 따라 캐나다산 완두콩 전분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이날부터 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조사는 향후 1년간 진행되며 경우에 따라 6개월 연장될 수 있다.
조사대상은 지난해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수입된 제품이고, 덤핑으로 인한 산업피해 조사는 2021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31일까지다.
중국과 캐나다 관계는 2018년 12월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이 미국 요청에 따라 밴쿠버에서 체포된 사건 이후 냉랭해진 상태다.
2023년에는 중국이 중국계 캐나다 정치인을 사찰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서로 상대국 외교관을 추방하며 갈등이 격화했고, 지난해부터 주고받은 맞불 관세와 중국에서 사형선고를 받은 캐나다인 4명의 올해 사형 집행 등으로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권수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