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로 재기에 성공한 ‘불닭’ 삼양식품과 수출 기회에 올라타려는 ‘신라면’ 농심의 2분기 실적 희비가 갈렸다. 삼양식품은 글로벌 인기에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고, 농심은 미국·중국 등 수출 지역에서 늘어난 판촉비와 원가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줄었다. 다만 하반기에는 내수도 해외 시장도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두 회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삼양식품은 2분기에도 불닭 효과로 매출(연결기준) 5351억원, 영업이익 1201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3% 늘었고, 영업이익은 34.2%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2.4%다. 상반기 기준으로 보면 매출은 1조821억원으로 처음 1조원을 돌파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수출 최대 시장인 미국과 중국 매출이 증가한 데다 유럽 법인도 성장세를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실적을 발표한 농심은 매출은 소폭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줄었다. 농심의 2분기 매출은 8677억원으로 0.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4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늘어난 1조7608억원을 기록한 반면, 영업이익은 962억원으로 8.4% 줄었다. 농심 관계자는 “수출이 소폭 늘긴 했지만 해외 판촉비와 관세 여파, 원가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페루 신라면 분식 1호점, 이탈리아 베네치아 광고 등의 마케팅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실적 상승을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하반기도 내수는 전망이 어둡다. 최근 국내 식품업계는 가격 ‘인상 자제’를 넘어 ‘인하 압박’을 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 태스크포스(TF)와 농림축산식품부·기획재정부는 지난 11일 주요 식품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물가 안정에 동참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내수 비중이 큰 농심의 경우 연매출 ‘3조 클럽’에 속하는 대형 식품기업이지만 영업이익률은 5% 안팎에 그친다.
매출의 약 70%가 해외서 발생하는 삼양식품 역시 하반기 상황이 불안하다. 수출의 29%를 차지하는 미국이 15%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가격 인상을 검토해야하는 상황이 됐다. 문제는 관세를 반영해 미국 내 판매 가격을 올리면 현지 매출에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게다가 월마트 등 현지 유통 채널과 조율도 필요하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K팝 등 한류에 기반한 판촉 전략에 집중했다면 이제 공급망 다변화 등 가격 경쟁력을 위한 대책도 고민할 시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