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유수연 기자]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나는 생존자다’는 지난해 공개돼 화제를 모았던 ‘나는 신이다’의 두 번째 이야기다.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린 네 건의 참혹한 사건을 생존자들의 목소리로 기록하며, 반복돼서는 안 될 비극을 다시 한 번 세상에 환기한다.
앞서 시즌 1 ‘나는 신이다’는 스스로를 신이라 부르며 사회를 뒤흔든 인물들의 어두운 단면과, 그로 인해 고통받는 피해자들을 집중 조명해 경종을 울렸다.
이번 시즌 2 ‘나는 생존자다’는 총 8부작으로, JMS, 형제복지원, 지존파,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등 여전히 현재진행형이거나 재발 가능성이 있는 사건들을 다룬다. 초반 1·2화는 형제복지원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전면에 배치했다.
형제복지원은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부산에 운영된 국내 최대 규모의 부랑인 수용시설로, 부랑자 단속이라는 명목 아래 3만여 명이 강제로 수용했다. 그 안에서 폭행, 강제노역, 성폭력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벌어졌고, 수백 명이 목숨을 잃었던 사건이다.
[사진]OSEN DB.
작품에서는 당시 형제복지원에 감금됐던 생존자들이 당시 유니폼을 입고 등장, 각기 다른 사연과 그 이후의 ‘생존의 삶’을 전한다. 특히 형제복지원 박인근 원장의 아들을 섭외해 카메라 앞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게 했으며, 그의 증언과 고개 숙인 장면이 담겨 눈길을 끌기도 했다.
제작 기간만 2년에 달한 이번 시즌은, 특히 전작에서 지적받았던 ‘선정성 논란’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시즌 1이 사건의 적나라한 현실을 보여주기 위해 불가피했을지라도, 과도한 자극성이 시청의 장벽이 된 측면이 있었다면, 이번 시즌은 불필요하게 자극적인 장면과 재현을 과감히 덜어냈다. 대신 피해자들의 생생한 증언을 온전히 살리고, 꼭 필요한 자료만 첨부해 관객이 사건의 본질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화면 대부분을 생존자들의 증언으로 채운 구성은 여타 사건 다큐와 차별화된다. 덤덤한 어조 속에서도 깊게 파고드는 그들의 말은, 사건의 시간 순서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을 넘어 지금까지 이어지는 고통과 국가·주범에 대한 책임을 묻는 목소리로 이어진다. 편파적으로 치우치지 않은 시선이 생존자 각자의 아픈 서사를 더 설득력 있게 만든다.
‘피해자’라는 단어로는 담기지 않는, 살아남은 자로서의 무게와 그들이 남긴 날카로운 질문은 현재와 미래를 향한다. 이번 시즌 역시 전작에 이어 적지 않은 사회적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