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오픈AI 샘 올트먼 CEO "AI 인프라 구축에 '수조 달러' 쓸 것"

연합뉴스

2025.08.15 10: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금융과 컴퓨팅 결합 새로운 금융 수단 작업 중…언젠가는 상장" "AI 투자 열풍 '닷컴 버블' 유사…일부 스타트업 가치 비이성적"
오픈AI 샘 올트먼 CEO "AI 인프라 구축에 '수조 달러' 쓸 것"
"금융과 컴퓨팅 결합 새로운 금융 수단 작업 중…언젠가는 상장"
"AI 투자 열풍 '닷컴 버블' 유사…일부 스타트업 가치 비이성적"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챗GPT 개발사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은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향후 "수조 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며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해 새로운 방식의 금융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오픈AI가 아주 머지않은 미래에 데이터센터 건설에 수조 달러를 쓸 것"이라며 "경제학자들이 '이건 미친 짓이다, 무모하다'라고 손사래를 치더라도 우리는 '우리가 알아서 할게요'라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녁 식사를 겸한 이날 간담회에서 그는 필요한 막대한 자금 조달을 위해 "아직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금융과 컴퓨팅을 결합한 아주 흥미로운 새로운 금융 수단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그 작업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트먼 CEO는 이런 AI 개발 비용을 충당하는 방법의 하나로 향후 기업공개(IPO) 가능성도 거론했다. 구체적인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오픈AI는 현재 수개월째 기업 구조 재편을 진행 중이다.
그는 "언젠가는 상장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아마도 그렇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나는 상장사 CEO 역할에 적합한 타입은 아니다"라며 오픈AI가 상장할 경우 새로운 CEO가 필요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또 오픈AI가 많은 돈을 쓰겠지만, 결국 "막대한 이익을 보게 될 것"이라며 "지금 계속 투자하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합리적"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현재의 AI 투자 열풍이 1990년대 후반 '닷컴 버블'과 유사하다고 봤다.
올트먼 CEO는 "두 경우 모두 '똑똑한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에 '과도하게 흥분'했다"면서 다만 "두 사례 모두 기술이 실제로 존재하며 결국 비즈니스와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투자자 전체가 AI에 대해 과도하게 흥분한 단계에 있다고 보느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AI가 아주 오랜만에 일어난 가장 중요한 일이냐고 물으면 이 또한 내 생각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사회 전체가 AI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러나 일부 스타트업의 기업가치는 "말도 안 되는 수준"이며 "비이성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누군가는 거기서 큰 손해를 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올트먼 CEO는 최신 AI 모델 'GPT-5'의 논란에 대해서도 말을 꺼냈다.
그는 지난 7일 'GPT-5'를 공개하면서 "박사급 전문가 수준"이라고 했다. 그러나 'GPT-5'가 미국 건국 초기 대통령과 미국 주(州)를 잘못 표기하는 등 기본적인 오류부터 심심치 않게 나타나면서 혼란을 겪고 있다.
일각에서는 'GPT-5'가 이전 버전인 'GPT-4o'보다 오히려 못하다며 기존 모델을 되살리라고 반발했고 오픈AI도 결국 이를 받아들였다.
그는 "출시 과정에서 완전히 잘못한 부분이 있다"며 "수억 명이 쓰는 제품을 하루 만에 업그레이드할 때 발생하는 문제와 사람들이 이 제품에 갖는 애착이 기존 제품과 얼마나 다른지에 대해 큰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연방 법원이 구글에 크롬 브라우저 분리를 명령할 경우 오픈AI가 이를 인수할 의향이 있다는 점도 재확인했다.
챗GPT 책임자 닉 털리는 지난 4월 워싱턴DC에서 열린 구글 온라인 검색 시장 독점 해소 방안 재판에서 "크롬 브라우저를 인수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우리뿐 아니라 많은 기업이 인수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태종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