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몸무게, 특히 옷 사이로 삐져나온 과한 뱃살은 많은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 그중 하나가 바로 허리 통증이다. 의학 연구들에 따르면 복부 체중이 1㎏ 증가하면 요추 디스크가 받는 압력은 약 3~5배 늘어난다.
비만으로 배 주변에 살이 찌면 척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받는 압력도 커지고, 버티지 못한 허리가 '비명'을 지르는 셈이다. 이런 허리 통증을 잡으려면 결국 다이어트가 필수라는 얘기다. 박종혁 분당제생병원 척추센터 과장(신경외과)의 도움말을 바탕으로 허리 통증 관리법을 정리했다.
━
비만과 척추질환은 '쌍방 관계'
복부 비만이 이어질 경우, 약해진 복근은 늘어난 배 주위의 중량을 버텨내지 못한다. 그러면 자세도 조금씩 변하게 된다. 허리 곡선이 부자연스러워지면서 허리가 받는 체중의 부담도 커지는 구조다. 이는 비만이 척추질환을 부추기는 주된 요인임을 보여준다.
반대로 척추질환 때문에 비만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대개 허리 통증이 심한 환자는 일반인과 비교해 일상적인 활동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특히 요추 척추관 협착증이 있다면 20~30m만 걸어도 다리에 심한 통증이 생겨 더 걷기 힘들 정도다.
그러면 자연스레 산책·달리기 등도 어려워지고, 운동능력 저하가 체중 증가로 직결된다. 심하면 당뇨병 같은 각종 성인병을 초래할 수도 있다. 박종혁 과장은 "실제로 요추 협착증 환자와 일반인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비교해보면 요추 협착증 환자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다"고 설명했다. 비만이 '원인이자 결과'인 허리 통증을 줄이려면 체중 조절을 해야 한다는 답이 나온다.
━
충분한 휴식, 허리 통증 해방에 필수
허리 통증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면 3가지 방안을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 우선 살부터 빼야 한다. 뱃살을 줄이면 허리 부담을 줄이고 자세 변형도 막을 수 있다. 걷기·수영·자전거 타기 등을 규칙적으로 하는 게 중요하다. 플랭크 같은 '코어 운동'을 하는 것도 다이어트와 허리 건강,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법이다.
바른 자세 유지도 중요하다. 비만 환자가 허리 자세도 좋지 않다면 디스크가 받는 압력은 배가될 수밖에 없다. 책상과 의자 높이를 허리가 90도가 될 수 있도록 조절해야 한다. 컴퓨터를 쓸 때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적절한 높이 조절이 필요하다. 가급적 허리를 숙여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는 게 좋다. 오래 서 있을 때는 발 받침대를 두고 양쪽 발을 번갈아 올려둘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론 충분한 휴식을 실천해야 한다. 제일 간과하기 쉬운 내용이기도 하다. 허리 통증이 있을 때 무리하게 운동하면 오히려 통증을 키운다. 허리에 좋은 걷기·수영 등도 마찬가지다. 박종혁 과장은 "건강할 때 가벼운 운동은 몸의 세포 분열을 활성화해서 건강에 좋다. 하지만 허리 통증이 있다면 운동이 오히려 통증을 악화시키고, 디스크 파열·손상을 가속할 수 있다"면서 "우선 통증이 완화될 때까지 충분히 휴식하고, 가벼운 걷기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