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역·김포공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지능형 기지국(AI-RAN)’ 등 유망 기술의 실증사업을 확대한다.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네트워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17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기지국 장비 시장은 최근 미국·일본·독일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하는 ‘개방형 무선 접속망(오픈랜·Open-RAN)’ 형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오픈랜은 표준화된 개방형 구조를 통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유연하게 조합·운용할 수 있는 무선접속망 기술로, 특정 제조사 중심의 폐쇄형 체계를 혁신한 기술이다. 오픈랜 생태계에서는 기업들의 시장 경쟁을 이끌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여러 기업들의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유연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특히 차세대 6G(세대)에서는 오픈랜과 AI를 결합한 AI-RAN이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란 전망들이 나온다. AI-RAN은 오픈랜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네트워크 운영을 자동 최적화하는 ‘지능형 무선접속망’을 뜻한다.
정부는 먼저 교통의 중심은 서울역과 김포공항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5G 특화망 오픈랜 및 AI-RAN 실증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하루 평균 10만 명 이상의 시민들이 오가는 서울역에서는 다수의 무선 카메라를 5G 오픈랜 특화망에 연결한다. 이를 통해 대용량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혼잡도 분석을 수행해 인파 쏠림을 예방하며 안전한 철도 이용을 지원한다.
해당 실증망은 국내 제조사인 LG전자의 소프트웨어(SW) 기반 기지국과 서로 다른 3개 제조사의 무선 장치를 결합한 구조다. 이렇게 여러 회사 장비를 섞어 쓰는 것을 ‘멀티벤더 오픈랜’라고 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 최초 사례”라고 설명했다.
김포공항에서는 승객이 출입제한 구역이나 보안 사각지대에 접근할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AI 융합 오픈랜 실증망을 운영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지국 서버에서 통신과 AI 기능을 동시에 처리하는 AI-RAN을 시험한다. 5G 카메라와 기지국 간 신호 품질을 개선해 고품질·대용량 영상을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기술도 검증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6G 시대 지능형 네트워크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선제적으로 기술과 산업 혁신을 이끌어가겠다”며 “AI-RAN의 효과성을 입증해 공공과 민간 전 분야로 확산을 촉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