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한국의 최대 수출품은 철광석이었다. 10대 수출품에는 생사(누에고치에서 뽑은 실)·오징어·돼지털 등이 포함됐다. 당시 외화벌이를 위해 환경미화원은 거리의 은행잎을 모았다. 중풍 치료제인 ‘유로키나제’를 수출하기 위해 공중화장실의 오줌도 수집했다. 이런 전국민적 노력 덕분에 전쟁 폐허 속 ‘최빈국’ 한국은 광복 80년 만에 수출 강대국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현재 한국의 주력 수출품은 전자·자동차·반도체 등 중화학·첨단산업으로 바뀌었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에서 통계 조사를 시작한 건 1925년 인구총조사(센서스)부터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총조사는 1949년에 실시했다. 센서스 100년의 역사에는 한국의 발전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6·25 전쟁이 끝나고 국가 재건이 시작될 무렵인 1953년 한국 명목 GDP(국민총생산)는 477억4000만원이었다. 당시 세계 경제 1위 미국 GDP의 약 0.12% 수준에 불과했다. 그랬던 한국은 연평균 17% 성장을 이어가며, 지난해 GDP 2556조8574억원을 달성했다. 70여년 만에 경제 규모가 5만3500배 성장한 것이다. 1인당 GNI(국민총소득)는 1953년 67달러에서 지난해 3만6745달러(약 5012만원)가 됐다. 특히 2023년부터는 한국의 GNI가 일본을 뛰어넘었다.
수출은 1956년 2500만 달러에서 지난해 6838억 달러로 확대했다. 이는 전 세계 수출의 4.8%에 해당하며, 세계 6위 규모다. 산업구조의 변화도 크다. 1953년 농림어업 부문이 산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8.2%였지만 2023년에는 1.5%에 불과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정치 안정과 시장경제 제도 확립은 한국의 고속 성장의 버팀목이 됐다.
통계청의 센서스에 따르면 1949년 당시 남한 인구는 2019만 명에서 2024년 5181만 명으로 약 2.5배 증가했다. 1960년대만 해도 3대, 심지어 4대가 한집에 사는 풍경이 익숙했다. 1955년 평균 가구원 수는 5.7명이었다. 한국이 산업사회로 바뀌면서 1980년 4.5명, 1990년 3.7명, 2005년 2.9명으로 줄었다. 2024년 한집에 사는 가족은 평균 2.2명에 불과하다.
1945년 문맹률은 약 78%였다. 성인 10명 중 8명은 글을 읽고 쓸 수 없었던 수준이었다. 2020년대에는 문맹률이 거의 0%에 가까운 수준이 됐다. 기본 교육의 확산과 국가 주도의 교육 개혁의 덕분이다.
1966년 기준으로 한국의 박사 취득 비율은 인구 100만 명당 약 35명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기준 국내 박사 취득자 수는 1만7528명으로 인구 100만 명당 박사 보유자는 339명 내외가 됐다. 하버드 벨퍼센터의 올해 한국의 종합 첨단기술 순위는 5위(25개국 비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