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19일 방미 기업인단과 만나 “이번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기업인이 애를 많이 써줘 생각보다 좋은 성과를 냈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방미 기업인과의 간담회를 열고 대미 투자 방안에 머리를 맞댔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부의 최대 목표는 경제를 살리고, 지속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있다”며 “수출 여건 변화로 정부와 기업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함께 힘을 모아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고 말했다. 또 “방미 일정에 동행하는 기업인이 현장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많이 만들어 달라”는 당부도 덧붙였다.
그러자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은 “한·미 관세 협상으로 불확실성이 제거돼 우리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회복됐다”며 “재계도 정부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대미 투자와 별개로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할 수 있게 관련 투자를 지속하겠다”고 약속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위기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실력 있고 젊은 창업인을 키워내기 위해 담보 대출보다 스타트업 투자가 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간담회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 장재훈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등도 참석했다. 기업인들은 “이번 방미 일정이 우리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지난달 관세 협상 타결의 원동력이 된 한·미 조선 협력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도 이날 간담회의 주요 안건이었다. 강 대변인은 “향후 우리 미래의 먹거리 문제나 김동관 한화 부회장이 얘기하는 과정에서 ‘앞으로도 조선업 관련 부분은 정상회담을 비롯한 관세 마무리 (협상 과정)에 있어 중요한 의제’라는 걸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밝혔다. 또 “오늘(19일) 만남 자체가 일본과 미국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었기에 조선·항공·반도체·배터리·자동차·에너지·핵심광물 등 서로 교류하고 협업할 부분에 대해 주로 의견을 나눴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이 24~25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할 방침인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과 2차 상법 개정안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두 법안에 대해 “원칙적인 부분에서 선진국 수준으로 맞춰갈 부분도 있다”며 “또 한편으론 기업에서도 좀 더 규제를 철폐한다든가 배임죄 부분에 있어서 완화를 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두 지점을) 맞춰갈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