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자치단체 중에선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통합을 둘러싼 주민 갈등이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김관영 전북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은 전주·완주의 통합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완주군에선 부정적인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지난 6월에는 김 지사가 주민과의 대화를 위해 완주군청을 찾아갔다가 통합 반대 측 주민들의 저지로 문전박대를 당하기도 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지난달 말부터 관내 13개 읍·면을 돌며 ‘완주·전주 통합 찬반 바로 알기 설명회’를 열었다. 지난 13일 소양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유 군수는 “2013년 통합 찬반 주민투표 때 얼마나 시끄럽고 다툼이 많았는지 잘 알지 않느냐. 군민 갈등을 부추길 수 있는 주민투표를 성급하게 추진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날 질의응답 시간에 통합 찬성 단체 회원이 발언하려고 하자, 통합 반대 측 주민이 반발하면서 거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통합 찬성 측에선 전주·완주의 통합이 이뤄지면 ▶지역 거점 도시 기능을 강화하고 ▶상생 협력사업을 공동 추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대 측에선 ▶주민 분열과 갈등이 우려되고 ▶통합으로 인한 혜택은커녕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고 맞선다. 유 군수는 먼저 군민 여론조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주민투표를 할지 말지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완주군에 따르면 통합 반대 건의서를 낸 주민 수(3만2785명)가 통합 찬성 건의서를 낸 주민 수(6152명)의 다섯 배 이상으로 많았다.
두 지역의 통합은 1997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시도됐다. 하지만 완주군민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됐고 이번이 네 번째 시도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 6월에는 주민투표까지 했다. 당시 완주군 투표자의 과반수(55.3%)가 전주시와의 통합에 반대표를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