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21일 오후 김 여사를 소환해 조사 중이다. 정치권에서는 김 여사가 신평 변호사 접견 당시 한 발언을 두고 진실 공방이 벌어진 가운데, 특검팀은 이날 김 여사를 상대로 건진법사 의혹을 집중 추궁할 전망이다.
━
金 측 “여사 입에서 나온 말 아냐…여론조작”
김 여사 측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멘토’로 알려진 신평 변호사는 지난 19일 접견 내용을 두고 정면 충돌했다. 이날 김 여사 측 유정화 변호사는 입장문을 내고 “어제 오후 변호인 접견 결과 한동훈 전 대표 관련 발언은 김 여사의 입에서 나온 것이 아님이 명확히 확인됐다”며 “특정 기자와 결탁해 떠본 뒤 이를 밖으로 흘려내며 본인 의견까지 합쳐 전파한 것”이라고 항의했다.
앞서 신 변호사는 전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김 여사는 접견실 의자에 앉자마자 대뜸 ‘선생님, 제가 죽어버려야 남편에게 살길이 열리지 않을까요?’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여사에 대해 “너무나 수척해 앙상한 뼈대밖에 남지 않았다”고 묘사했다.
양쪽 주장이 엇갈리는 건 김 여사가 여야 정치인들을 언급했다는 부분이다. 신 변호사는 “(김 여사가) 한동훈이 어쩌면 그럴 수가 있었겠느냐고 한탄하기도 했다”며 “‘그가 그렇게 배신하지 않았더라면 그의 앞길에는 무한한 영광이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 아니냐’고 했다”고 썼다. 같은 날 저녁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에 출연해 “정확한 워딩은 ‘자기(한 전 대표)가 배신하지 않았으면 무엇이든 자기가 다 차지할 수 있었지 않았겠나’”였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김 여사가 이재명 대통령을 언급했다고도 했다. 김 여사가 신 변호사에게 “이 대통령의 가장 큰 장점이 뭐라고 생각하나”라고 물었다는 것이다. 이에 신 변호사는 “사람을 키울 줄 아는 분”이라고 답했고, 김 여사는 이에 동조하며 “사람을 키울 줄 아는 분이다. 이것을 남편(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다음에 가시거든 꼭 전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또 김 여사가 특검에 자수서를 제출한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에 대해 “(이재명) 정권과 손잡고 우리를 죽이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도 했다.
다만 김 여사는 전날 변호인과의 접견에서 한 전 대표 관련 발언에 대해 “그게 무슨 말이냐. 내가 한 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재명 대통령에 관해 물었다는 내용 역시 사실이 아니라고 전했다. 신 변호사가 먼저 한 전 대표 등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고, 김 여사가 단순 호응한 것을 김 여사가 직접 발언한 것처럼 왜곡했다는 게 김 여사 측 입장이다.
유 변호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김 여사는 현재 건강이 극도로 쇠약해져 있어 장시간 대화를 이어가는 것조차 어려운 상황”이라며 “자신의 정치적 언설을 선제적으로 덧붙여 외부에 흘리는 것은 부도덕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신 변호사는 “변호인단의 주장에 반박을 하게 되면 감정적 소모전으로 번지게 된다”며 “대응하지 않겠다”고 했다.
━
건진법사 의혹 집중 추궁할 듯…법사는 영장심사 포기
김 여사는 이날 오후 1시 35분쯤 호송차를 타고 서울 종로구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지난 12일 구속된 뒤 받는 세 번째 소환 조사다.
김 여사를 둘러싼 의혹의 핵심 관계자 3인은 잇따라 구속됐다. 앞서 건진법사를 통한 통일교 청탁의 핵심 고리인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부장이 먼저 구속돼 지난 18일 기소됐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혐의 관련자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역시 지난 5일 구속됐고, 지난 15일에는 ‘집사 게이트’의 핵심 피의자인 김예성씨가 구속됐다. 이날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예정돼 있던 건진법사 전성배씨 역시 심문을 포기하며 구속될 가능성이 커졌다.
우울증 증세로 건강이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김 여사는 이날 오전 의사와 대면진료한 뒤 조사에 임했다. 특검팀은 아닐 건진법사 의혹에 대해 우선 조사한 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조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 여사는 앞선 2회 조사에 이어 이날도 대부분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