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사령부는 지난 19일 비무장지대(DMZ)에서 건설·보수 작업을 하던 북한군 30여명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온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유엔사는 북한군의 월선 당시 상황과 관련해 "북측의 발표는 물론 DMZ에서 발생한 사건을 인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건 직후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가 표준 절차에 따라 조사를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유엔사에 따르면 북한군은 MDL 부근에서 작업을 하다 남측으로 넘어왔으며, 이에 한국군은 여러 차례 경고 방송을 했으나 북한군은 응답하지 않았다. 한국군은 이후 경고사격을 실시했고, 북한군은 북측 지역으로 복귀했다.
앞서 북한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고정철 중장은 전날 담화를 통해 "한국군이 12.7㎜ 기관총으로 10여 발의 경고사격을 했다"고 주장하며 도발 중단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한국 합참은 "19일 오후 3시께 북한군이 중부전선 MDL을 침범해 경고사격 조치를 했으며, 북한군은 북상했다"고 설명했다.
유엔사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북한이 DMZ 내 작업 활동을 사전에 통보한 사실을 언급하며 "오해와 우발적 사건의 위험을 줄이는 사전 통보와 대화의 가치는 인정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사안은 물론 다른 잠재적 이슈에 대해서도 북측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DMZ 내 긴장 고조 가능성을 다시 보여주는 사례로, 남북 간 군사적 충돌 위험을 낮추기 위한 지속적인 소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