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서아프리카 사헬(사하라 사막 남쪽 주변) 지역의 군사정권과 밀착하고 있다고 AFP 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FP에 따르면 미국은 조 바이든 정부 시절에는 이 지역에서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 정권이 득세한 이후 니제르와 말리, 부르키나파소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고 거리를 둬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사헬 지역의 광물 자원을 대가로 군사 지원을 검토하는 등 관계 재설정에 나서고 있다.
미 국무부의 아프리카 담당 트로이 피트렐은 지난 5월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열린 행사에서 미국의 대아프리카 정책이 이제는 "원조가 아닌 무역"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AFP는 지난달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안보 및 대테러 자문관이 말리를 찾아 알카에다나 이슬람국가(IS)와 연관된 지하디스트들로 인한 혼란에 대해 '미국식 해결책'을 제안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미국 기업들이 광물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대가로 이슬람 급진세력으로 인한 혼란을 해결할 군사적 지원을 제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니제르 주재 미국 대사를 지냈던 비사 윌리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테러와의 전쟁 지원을 대가로 다수의 광물 소유권과 채굴된 광물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며 미국의 용병 파견도 포함될 수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르완다와 민주콩고의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광물 협정을 얻어낸 바 있다.
AFP에 따르면 말리는 금과 리튬의 주요 생산국이며 부르키나파소도 풍부한 금 광맥을 보유하고 있다. 니제르는 세계 최대의 우라늄 수출국 중 하나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신영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