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이 몽골 내 사막화 지역을 대상으로 '녹색 만리장성' 조성 논의에 들어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사막화 진행 상황이 심각한 몽골 내 고원 지역에 '생태 안보 장벽 쌓기 프로젝트'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SCMP는 지난 6월 중국과학원과 몽골과학원 연구진이 몽골 울란바토르에 모여 관련 논의를 본격화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중국과학원 산하 지리과학 및 천연자원연구소는 웹사이트에 "급격한 기후변화와 더불어 모래 폭풍 등 재난 위험이 증가하면서 몽골에 심각한 생태적 영향이 끼쳐지고 있으며 중국에도 위협이 초래되는 상황"이라는 판단을 공지했다.
이 연구소는 "중국과 몽골이 생태 안보 장벽을 공동으로 건설해 기후 변화·사막화·모래폭풍에 대처하고 녹색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해법도 제시했다.
사실 중국 북부와 북동부, 몽골 남부에 걸친 고비사막이 양국에 심각한 모래 폭풍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양국 간 협력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SCMP는 2021년 중국 북부 12개 성(省)이 황사와 먼지로 뒤덮였고 2023년에는 18개 성·시가 최악의 모래 폭풍을 겪었고, 이를 계기로 중국만이 아닌 몽골 지역과의 협력을 통한 사막화 및 모래폭풍 방지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소개했다.
주로 봄과 초여름에 발생하는 몽골발(發) 모래폭풍은 중국은 물론 한반도에까지 심각한 황사 현상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동북아 전체의 골칫거리가 된 지 오래다.
이 신문은 몽골의 경우 과도한 방목과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고 강우량이 감소하면서 가뭄과 사막화가 심각해져 국토의 77%가 황폐화했다는 유엔 조사 결과를 전했다.
몽골 당국도 지난 10년간 12개 이상의 환경 보호 계획을 추진하고 수백 개의 프로젝트를 시행했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중국은 자국 '녹색 만리장성' 성공 사례의 몽골 이식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자국 내 고비 사막 주변의 서북·화북·동북 지역에 거대한 방풍림을 조성하는 인공조림 사업을 1978년부터 추진해왔으며, 이는 '녹색 만리장성 프로젝트' 또는 '삼북 방풍림 계획'으로 불려 왔다.
이 작업을 구체적으로 보면 모래언덕 위에 작업자들이 마른 밀짚을 1m 정사각형 모양으로 가지런하게 눕혀 놓고 삽과 비슷한 전용 도구로 밀집 중간 부분을 눌러 땅속에 박아 20∼30㎝ 높이의 밀집 방풍벽을 완성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 갈매나무 또는 골담초 등 사막에서도 잘 자라는 묘목을 깊숙이 눌러 심는다. 땅속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해 해당 식물이 뿌리 내릴 수 있다. 이렇게 격자 모양의 녹색 만리장성을 확장해가는 식이다.
이를 통해 사막화 방지와 지역 생태 환경 개선, 목재 등 임산물 제공 등의 효과를 거둔다는 것이 목표다.
SCMP는 중국과학원 산하 신장위구르 생태지리연구소 연구 결과를 인용해 이런 녹색 만리장성 사업으로 2000∼2020년 중국의 사막화는 감소했지만, 몽골은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실제 중국은 북서부 간쑤성과 신장위구르자치구에 있는 타클라마칸 사막 둘레에 총 3천46㎞에 걸쳐 나무를 심는 프로젝트를 작년 11월 완성한 바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은 면적이 33만7천600㎢로 중국에서 가장 큰 사막이자 사하라 사막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모래사막이다.
중국은 사막 주변에 조성한 인공 숲이 모래 폭풍을 방지하고 생태계를 보호해 철도·도로 등 기간시설의 훼손을 막고 버섯과 약용 식물 등 농산물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은 아울러 사하라 이남 사헬 지역(반건조 지대) 20개국에 걸쳐 진행되는 사막화를 방지하려고 7천km의 녹색 장벽을 세우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