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현정 기자 = 미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중국과의 경제 협력과 미국과의 안보 협력을 병행하는 이른바 '안미경중'(安美經中) 노선을 과거와 같이 이어갈 수 없다고 발언한 데 대해 중국 관영매체가 "근본적 질문을 외면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중국공산당 인민일보 계열의 영자신문 글로벌타임스는 27일 '한국, 안미경중을 조율하려면 핵심 문제부터 해결해야'라는 제하의 사설에서 "중견 강국으로서 한국은 격변하는 국제 질서 속에서 어떻게 전략적 자율성을 유지하고 확대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표현이 한국 외교 정책의 새로운 정당화 수단으로 등장하는 순간, 이는 곧 한국의 국익을 미국의 글로벌 전략 아래 종속시키는 결과를 낳는다"면서 "경제적 이익이 희생된다면 국가 안보 역시 흔들릴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야말로 한국 정치 지도자들과 재계 리더들이 계산해봐야 할 진짜 문제"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방미 중인 이 대통령은 앞선 25일(현지시간) 현지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강연에서 '혹자는 한국이 미국에 안보를 의존하고 경제적 실익은 다른 곳에서 취한다는 의문을 제기한다'는 질문에 '안미경중'을 언급하며 "한국이 과거처럼 이 같은 태도를 취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됐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최근 몇 년 사이 자유 진영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진영 간 공급망 재편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미국 정책이 명확하게 중국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갔다"며 "이제는 한국도 미국의 기본적인 정책에서 어긋나게 행동하거나 판단할 수 없는 상태"라고 부연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의 정책에서 어긋나기 어렵다'는 취지의 이 대통령 발언에 반박하면서, 2016년 한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을 언급했다.
이 매체는 "아이러니하게도 그토록 강조하던 '안미' 접근은 한국에 진정한 안보를 가져다주지 못했다"면서 "사드 배치는 한반도 핵 문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을뿐더러 중국과의 관계를 심각하게 훼손했고 한반도 긴장 역시 더욱 고조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이 반도체, 공급망, 대만해협, 남중국해 등 중국의 핵심 이익과 관련된 문제에서 미국 요구에 따라 무조건적인 대(對)중국 견제에 나선다면, 이는 곧 한국의 국가 운명을 위험한 전차에 스스로 묶어버리는 것과 다름없다"면서 "한국이 중국과 거리를 두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한다면, 한국 경제와 국민의 삶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고, 가장 근본적 이익이 훼손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또한 미국과 다르게 중국은 한국과 '가까운 이웃 국가'이고, '지역 평화와 안정 유지'라는 공동의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건전하고 안정적인 중한 관계는 그 자체로 한국의 가장 중요한 전략적 자산 중 하나이고, 한국이 외부 압력에 저항하고 한반도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기반"이라면서 "한국은 체스판 위의 말이 될지, 체스판의 플레이어가 될지 독립적 결단력을 보여야 한다"고 꼬집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현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