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타냐후,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인정…튀르키예 저격?
가자전쟁 국면서 이스라엘-튀르키예 관계 악화 영향
(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오스만제국 때 다수의 아르메니아인이 숨진 일을 '제노사이드'(genocide·집단학살)로 인정했다.
이스라엘 총리가 이 일을 집단학살로 규정한 것은 처음으로, 이는 22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자지구 전쟁 국면에서 튀르키예가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입장을 취하며 양국 관계가 악화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26일(현지시간) 네타냐후 총리는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패트릭 벳데이비드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은 왜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제노사이드를 인정하지 않느냐'는 취지의 질문을 받았다.
이에 네타냐후 총리는 "했던 것 같다"며 "크네세트(의회)에서 관련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진행자는 '왜 이스라엘 총리 중 아무도 이를 인정하지 않는가'라고 거듭 질문했고, 이에 네타냐후 총리는 "내가 방금 했다"고 답했다.
이스라엘과 튀르키예의 여러 매체가 네타냐후 총리의 발언을 보도하며 관심을 보였지만 이와 관련한 양국 정부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많은 역사가는 1915∼1923년 당시 튀르키예의 전신인 오스만제국이 아르메니아인과 다른 소수민족에 대해 대량학살을 자행했다고 보며 이로 인해 약 150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한다.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나라는 미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34개국에 불과하다.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인정하는 나라가 147개국인 것에 비교하면 훨씬 적다.
이에 대해 튀르키예는 '1915년 사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전쟁 중 벌어진 쌍방 충돌의 결과라며 집단학살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숨진 아르메니아인 규모도 30만 명 정도라고 주장한다.
이스라엘 안에서는 제노사이드 인정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이어졌지만 지도자들은 줄곧 이를 거부해왔다는 점에서 네타냐후 총리의 발언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이스라엘 일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이스라엘은 튀르키예를 주요 무역 파트너이자 안보 파트너로 여겨왔지만 가자지구 전쟁이 계속되면서 양국 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고 지적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공개 지지하고 네타냐후 총리를 비난하는 등 양국 관계가 경색된 것이 이번 네타냐후 총리 발언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앞서 2001년 시몬 페레스 당시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아르메니아인들이 겪은 일은 비극이지만 제노사이드는 아니다"라며 "홀로코스트와 비슷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 네타냐후 총리의 언급과 달리 크네세트에서 관련 결의안이 통과된 적도 없다고 이 매체는 짚었다. 2011년 크네세트에서 매년 4월 24일을 '아르메니아 집단학살 추모의 날'로 선포하자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이는 표결에 부쳐지지도 않았다.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많은 나라들이 서방 군사동맹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국이자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튀르키예와 관계를 고려해 이 사안 언급을 꺼린다고 분석했다.
또 이스라엘에서는 이 사안이 나치 독일이 유대인을 대량학살한 홀로코스트 사건과 동급으로 여겨지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분위기가 있다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동호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