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美, 역사 수정주의 공모해"…기획보도 나선 中관영지
日 '열병식 참석 자제' 요청에 반발…"지정학적 사리사욕에 역사 왜곡"
(서울=연합뉴스) 김현정 기자 = 중국 관영 매체가 오는 3일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대회'(전승절) 열병식 개최를 앞두고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를 비판하는 기획보도에 나섰다.
이는 일본 정부가 유럽·아시아 주요국에 열병식 참석을 보류해 달라고 요청한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이 매체는 미국을 '여론 조작' 공모 세력으로 규정했다.
27일 중국공산당 인민일보 계열의 영자신문 글로벌타임스는 "일본과 그 일부 동맹국들이 어떻게 진실을 뒤바꾸고 역사 수정주의를 퍼뜨리며 국내외 여론을 조작하는 '인지 전쟁'을 벌이고 있는지를 파헤치겠다"며 두 편으로 구성된 탐사 보도 중 한 편을 이날 실었다.
첫 번째 기사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부터 1990년대 초까지 일본 내에서 어떻게 역사 수정주의가 등장했는지와 이에 연관된 안팎 세력에 대해 다뤘다.
글로벌타임스는 전문가를 인용해 "일본 정부의 오랜 역사 회피 및 부정은 전후(戰後) 미국과의 이해관계, 국내 정치 투쟁 등에서 비롯된 것"이라면서 그 씨앗은 일본 군국주의 세력에 대한 '선택적 숙청'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후 일본에서 가장 먼저 역사 수정주의를 주장한 세력은 바로 A급 전범들과 그들의 변호인이며, 정치권 및 학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고 덧붙였다.
글로벌타임스는 이 과정에서 일본에 대한 미국의 조력이 있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1950년대 초 미국은 전범들이 공직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면서 "그 결과, 전범 출신이자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가 1957년 일본 총리가 됐다"고도 강조했다.
이밖에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세균전 부대였던 '731부대'의 인체실험 등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해 '연구 자료와 실험보고서'를 대가로 은폐했다는 주장도 펼쳤다.
왕광성 중국수도사범대학 일본문화연구센터 소장은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에서 우익 세력이 부활하고 역사 수정주의가 확산한 것은 대체로 미국의 공모로 가능했다"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지원으로 일본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일본 내 민족주의 정서가 점진적으로 고조됐고, 패배국이 느끼던 억압감은 우월감으로 대체됐다"고 평가했다.
이 매체는 또한 최근 일본 정부가 해외 대사관과 외교 채널을 통해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이라면 역사적 정의와 전후 국제질서에 대한 노골적인 도발"이라면서 "한때 일본 군국주의 침략으로 고통받았던 모든 국가에 대한 모욕"이라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현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