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스텐 시장 장악' 中, 베트남 광산 인수 움직임…서방 우려
중국 외 최대 규모 광산·제련공장 매물로…美외교관 등 광산 방문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세계 텅스텐 시장을 장악한 중국이 베트남 텅스텐 광산까지 손에 넣을 가능성이 제기되자 미국 등 서방 각국이 우려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베트남 북부 타이응우옌성의 누이파오 광산이 매물로 나오자 중국 기업 2곳이 외국 기업들에 접근해 광산 인수 입찰 대리인 역할을 요청했다고 한 소식통이 전했다.
이 광산은 베트남 대기업 마산그룹 자회사인 마산하이테크머티리얼스가 소유하고 있다. 최근 이 회사는 광산 매각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움직임이 포착되자 최근 몇 달 동안 미국 외교관과 다른 서방 국가 관리들이 누이파오 광산을 여러 차례 방문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한 관계자는 "서방은 중국이 통제하지 않는 (자원) 공급을 유지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국은 세계 텅스텐 생산량의 83%를 차지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베트남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텅스텐 생산국이다.
광물 컨설팅 회사 '프로젝트 블루'에 따르면 베트남산 텅스텐은 작년 미국 수입량의 22%, 유럽 수입량의 8%를 차지했다.
특히 베트남 텅스텐 채굴량의 대부분이 누이파오 광산에서 나온다. 광산에 딸린 텅스텐 제련공장도 중국을 제외하면 세계적인 대규모 공장으로 연간 6천500톤(t)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호주에서 생산한 텅스텐 광석을 이 공장에서 전량 제련하는 호주 자원기업 EQ리소시스의 고문인 앤드루 골레지노스키 전 베트남 주재 호주 대사는 "이처럼 중요한 제련 사업체가 서방 국가 산업계와 이해관계를 공유하지 않는 측에 매각된다면 우려스러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텅스텐은 경도가 매우 높아 무기류와 반도체·배터리 등 각종 생산장비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전략 광물이다.
하지만 생산량 대부분을 장악한 중국은 지난 2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맞서 텅스텐 등 전략 광물 25종 수출 통제를 단행, 정부 허가가 있어야만 수출할 수 있도록 했다.
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텅스텐 제품 수출은 2월에 급격히 감소했고 이후 부분적으로만 회복돼 7월 수출량은 여전히 1월보다 17%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캐나다 광물업체 알몬티인더스트리스가 강원도 영월군 상동광산에서 텅스텐 채굴 재개를 준비하는 가운데 지난해 USGS 산하 국립광물정보센터(NMIC) 조사단이 상동광산을 방문해 광산 재개발 사업 진행 상황 전반을 살펴보는 등 텅스텐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서방 국가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이달 5일 기준 텅스텐 정광 가격은 1t당 3천740만원으로 2011년 5월의 최고가 3천50여만을 14년 만에 넘어섰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진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