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부터 러·이란·미얀마까지…中전승절 권위주의 정상들 '주목'
'격변의 축' 국가 수반들, 열병식 참석…"시진핑, 영향력 과시"
(서울=연합뉴스) 김현정 기자 = 중국 베이징에서 내달 3일 열리는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열병식에 이른바 '격변의 축(Axis of Upheaval)'이라 불리는 권위주의 국가의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일각에서는 이날 행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세계 질서를 재편하려는 국가들 사이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과시하게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베이징 톈안먼에서 다음 달 3일 개최 예정인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80주년) 열병식 행사에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제재를 받는 국가의 지도자들이 참석한다며 "이는 서방에 대한 단결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로이터는 특히 국가 정상이 열병식에 참석할 예정인 러시아, 북한, 이란, 미얀마 등이 대표적인 '격변의 축' 국가라는 데에 주목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최고사령관(대통령 대행) 등 26개국 정상이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한다고 밝힌 바 있다.
'격변의 축'은 미국의 역사학자 니얼 퍼거슨 하버드대 교수가 2009년 제시한 것으로, 2002년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국정연설에 등장한 '악의 축(axis of evil)'에 빗대 그 위험성을 경고한 개념이다.
퍼거슨 교수는 민주주의가 약하거나 후퇴 중이며, 내부 통제가 지나치게 강압적이고, 외부 세계와의 마찰이 크고, 경제적·사회적 균열이 깊어지는 것을 이들 국가의 공통점으로 봤다. 무엇보다 이들이 세계적 혼란이나 충돌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퍼거슨 교수 주장이다.
로이터는 열병식 행사를 계기로 시 주석이 격변의 축 국가들 사이에서의 영향력을 보여주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알프레드 우 싱가포르 국립대 리콴유 공공정책대학원 부교수는 "시 주석은 자신이 중국 내에서 여전히 강력하고 영향력 있으며, 호평받고 있다는 점을 (이들에게) 과시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우 부교수는 이어 "시 주석이 과거 지역 지도자였을 당시, 그는 푸틴 대통령을 우러러보며 지도자의 전형으로 여겼다"면서 "하지만 이제 그(시진핑)가 세계적 지도자가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김정은 위원장이 곁에 있다는 것도 시 주석이 이제 세계적 지도자가 됐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로이터는 격변의 축 국가들이 중국을 통해 서방 제재를 우회해 외교·경제의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수백 명의 어린이를 우크라이나에서 불법으로 추방한 전쟁 범죄 혐의로 2023년 국제형사재판소(ICC)가 체포영장을 발부해 수배 중인 푸틴은 지난해에도 중국을 방문한 바 있다.
중국의 공식 동맹국인 북한은 핵무기와 탄도 미사일 개발로 2006년부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으나, 2019년 1월에 이어 김 위원장은 6년 만에 중국에 공식 방문하게 됐다.
또한 중국은 이란 석유 수출량의 90%를 구매하고 있으며, 풍력 터빈과 의료 기기, 전기자동차 제조에 필수인 희토류 금속을 미얀마에서 계속 공급받는 중이다.
로이터는 "서방 주도의 세계 질서를 재편하려는 국가들의 느슨한 연합인 격변의 축은 대만 문제나 해상 운송로 차단 등을 통해 미국의 이익을 약화하려 했다"면서 "이들은 서방 제재 무력화를 위해 상호 간에 경제적 생명선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현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