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2나노 시험생산 수율 60% 달성…4분기 양산 본격화"
"연말까지 웨이퍼 월 5만장 생산 계획"…초기 생산물 절반 애플로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본격적인 양산을 앞두고 있는 최첨단 2㎚(나노미터·10억분의 1m) 반도체의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이 60%에 도달했다고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이 29일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TSMC는 올해 4분기 북부 신주과학단지 바오산 20 팹(반도체 생산공장)과 남부 가오슝 22 팹에서 양산할 2나노 시험 생산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
이 소식통은 2나노 양산 개시 전 시험생산 수율이 60%를 넘어섰지만 4분기 양산이 본격화되면 해당 수율이 더욱 높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TSMC가 지난 4월 1일부터 2나노 제품 주문을 받기 시작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해당 웨이퍼(반도체 제조용 실리콘판) 생산량을 매달 4만5천∼5만 장, 2026년에는 10만 장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근 완공된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 21 팹 2공장(P2)이 양산을 시작하면 2나노 생산량이 2028년께 20만 장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당 소식통은 TSMC의 양대 고객사 중 하나인 애플이 2나노 초기 생산시설의 약 절반을 사용하기로 계약했다고 밝혔다.
이어 애플에 출하되는 대부분이 내년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 18시리즈에 적용할 A20과 A20 프로 칩에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웨이퍼 장당 가격이 3만 달러(약 4천만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른 소식통은 TSMC가 20 팹의 1공장(P1)과 2공장(P2)에서 2나노를 생산하고, 3공장(P3)과 4공장(P4)에서 2027년 말 A14(1.4나노)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22 팹의 P1∼P5(5공장)는 2나노 생산을, P6(6공장)는 1.4나노 생산을 잠정 결정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부 타이중 단지 확장건설 2기 부지의 보상 문제가 마무리된 25 팹은 1.4나노 공장 4개를 건설해 2028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나노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의미하는 단위로,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현재 TSMC와 삼성전자가 양산하는 3나노가 가장 앞선 기술이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철문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