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강릉 사태 남의 일 아니다"…충남도, 지천댐 건설에 행정력 올인

중앙일보

2025.08.30 19:4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극한 가뭄으로 수도꼭지마저 제대로 틀 수 없는 강원도 강릉에 ‘재난사태’가 선포되자 충남도가 지천댐 건설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나섰다. 예측 불가능한 기후변화 속에서 안정적으로 식수원으로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지난 29일 박정주 충남도 행정부지사(오른쪽)이 지천댐 건설 후보지를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왼쪽)에게 댐 건설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충남도]
31일 충남도에 따르면 박정주 행정부지사는 지난 29일 신규 댐 재검토를 위해 지천댐(청양·부여) 예정지를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에게 “애초 정부가 계획했던 대로 지천(지후대응)댐 건설을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박 부지사는 “충남의 100년 미래를 위해 지천댐 건설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용수 80% 대청댐 의존…청양·부여는 더 심각

충남은 삼성전자 등이 입지한 국가첨단산업의 중심지로 무역 수지 전국 1위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용수의 80% 이상을 다른 지역에 위치한 대청댐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대표적인 물 부족 지역으로 꼽히는 이유다. 2031년이면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고 2035년에 도달하면 하루에 약 18만t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관련 기관은 전망했다. 지천댐 후보지인 청양과 부여의 사정은 더 심각하다. 청양의 경우 하루에 필요한 생활용수 중 6000㎥(60%)를 보령댐, 2000㎥(20%)를 대청댐에서 의존하고 있다. 부여군은 2만9000㎥ 전량을 대청댐에서 가져다 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극심한 가뭄이 발생했던 2015년 9월 30일 청양군 등 충남 8개 시·군에는 제한급수가 이뤄졌다. 2027년과 2018년, 2020년, 2022년에는 부여군 일대 42개 마을에서 운반급수가 이뤄지기도 했다.
지난 5월 7일 충남 청양군 지천댐 건설 후보지에서 댐 건설에 찬성하는 주민과 전문가들이 정부를 상대로 조속한 댐 건설을 촉구하고 있다. 신진호 기자
청양군의 생활용수의 20%를 의존하는 보령댐도 아슬아슬한 상황이다. 지난해 11월 충남지역 4개 시·군 주민 30만여 명은 사흘간 단수 피해를 입었다. 노후한 보령댐 광역상수도 배관이 터지면서 물 공급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1988년 준공한 보령댐은 충남 8개 시·군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지만 매년 저수량이 30%대에 머물면서 도수로를 통해 금강에서 물을 끌어다 썼다. 그나마 올해는 7월 내린 집중호우로 50%대의 저수율을 유지하고 있다.



보령댐 저수율 바닥…매년 금강 물 빌려

한국수자원공사는 지천댐을 건설하면 생활·공업용수 공급은 물론 홍수량의 39%를 분담해 홍수 방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천댐을 건설하면 물 부족 문제와 폭우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는지를 정밀하게 검토하겠다”며 “모든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8월 27일 충남 청양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기후대응댐 후보지 주민설명회에서 댐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단상을 점거하며 설명회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신진호 기자
충남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건설을 추진 중인 지천댐은 저수 용량 5900만㎥ 규모다. 이는 예산 예당저수지(4700만㎥)와 논산 탑정저수지(3100만㎥)보다 큰 용량으로 하루 11만㎥(38만명 사용)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정부와 충남도는 1991년·1999년·2012년 세 차례에 걸쳐 댐 건설을 추진했으나,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등 상류 지역 규제 문제 등으로 모두 무산됐다.



댐 건설 세 차례 무산…전문가 "반드시 지어야"

충남대 지역환경토목학과 노재경 명예교수는 “2022년과 2023년 충남 부여와 청양은 폭우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며 “평생 댐과 저수지를 연구해온 전문가 입장에서 판단하면, 반드시 일정 규모 이상의 댐을 건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진호([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