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자진 사퇴를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이 위원장의 거취와 관련해 대통령실이 직접 목소리를 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 30일 전국 9개 민영방송사와의 대담에서 이 위원장과 관련해 “대구시장에 출마를 할 거라면 그만두고 나가시는 게 맞지 않느냐”고 말했다. 우 수석은 이날 “아무리 봐도 이분은 방통위원장을 하는 목적이 정치적인 것 같다”며 “국무회의에 와서도 시키지도 않는데 준비해온 발언을 해서 뉴스를 만들고, 본인이 SNS 또는 기자들에게 가서 자기가 한 얘기를 마구 밝힌다”고 말했다.
우 수석의 말을 보도로 접한 이 위원장은 31일 페이스북에 반박의 글을 올렸다. 대구시장 출마설에 대해 “방송통신위원장의 임기는 2026년 8월까지로 임기를 채우면 6월 3일로 예정된 지방선거 출마는 불가능하다”고 썼다. 그러면서 “일관되게 방통위를 완전체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을 뿐 정치적인 행위를 한 것은 없다”며 “(국무회의 발언은) 다른 참석자가 밝힌 것이 더 많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실은 이 위원장이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지난달 국무회의에서 배제한 뒤 현재 직권 면직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지난 4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국가공무원법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이 위원장을 고발했고 현재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이 위원장에 대한 사퇴 압박에 대통령실이 동참하자 국민의힘은 “좌파 정권에 불편한 목소리를 내는 방송을 차단하기 위해 눈엣가시인 이 위원장을 몰아내려는 술수”라고 비판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30일 “이재명 정권이 보기에 정치적 중립 위반이 그렇게 중요하다면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에게도 똑같은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며 “같은 잣대라면 임 지검장은 이미 파면됐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임 지검장은 지난 29일 국회에서 촛불행동 등이 주최한 토론회에 나와 민주당의 검찰개혁안에 신중론을 제기해 온 정성호 법무부 장관을 직격했다. 임 지검장은 “정 장관조차도 검찰에 장악돼 있다”며 “(정 장관의 검찰개혁안은) 검사장 자리 늘리기 수준인 것 같아서 참담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봉욱 민정수석과 법무부의 이진수 차관, 성상헌 검찰국장, 김수홍 검찰과장 그리고 노만석 대검차장을 ‘검찰개혁 5적’이라고 공격했다.
대통령실은 김건희 여사에게 금거북이를 건넸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에 대해서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김건희 특검팀이 지난 28일 이 위원장의 자택을 압수수색하자 이 위원장은 휴가를 신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31일 “이 위원장의 휴가 신청은 지난 29일 밤 재가됐다”면서도 “그러나 국회 출석은 이와 별개의 사안이다. 휴가라고 해서 법률에 나온 국회 출석 및 답변의 의무가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 위원장에 대해서도 전날부터 사퇴를 요구중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이 위원장은 장관급 기관장으로서 잠적이 아니라 해명·수습이라는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며 “국회에 출석해 의혹이 사실인지 국민께 소상히 밝히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