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김병기 ‘필향만리’] 天下有道 則庶人不議(천하유도 즉서인불의)

중앙일보

2025.08.31 08:10 2025.08.31 17:11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중국 전설상의 성군인 요(堯)임금이 미복(微服=변복)으로 거리에 나가 “이 나라의 왕이 누구냐?”고 묻자, 백성들은 “해 뜨면 일하고 해지면 자고, 내 할 일을 하며 살면 됐지 왕이 누군지는 알아서 뭘 하겠소?”라고 답했다. 이에 요임금은 나라의 정치가 잘 되고 있음을 알고, 자신이 더는 왕위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음을 깨달아 허유(許由)에게 왕위를 내주었다. 그러자 허유는 더러운 말을 들었다며 냇물에 귀를 씻었다. 지나던 소부(巢父)는 더럽힌 귀를 씻은 더러운 물을 자신의 소에게 먹일 수 없다며 상류로 올라가 버렸다.

 庶:여러 서, 議:의논할 의. 천하에 도가 있으면 서민들은 이러쿵저러쿵 토론하지 않는다. 32x60㎝.
참 꿈같은 이야기이다. 훌륭한 정치는 백성들 스스로 잘 살도록 놔두는 정치이지, 인위적인 통제에 대해 의론이 많은 정치가 아님을 비유한 유명 고사이다. 이런 맥락에서 공자도 “천하에 도가 있으면 서민들은 이러쿵저러쿵 정치토론을 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이다.

아마 우리나라만큼 정치토론의 열기가 뜨거운 나라도 드물 것이다. 불행한 일이다. 행복한 마음으로 정부가 하는 일에 적극 참여할 뿐, 불필요한 토론과 다툼이 없이 해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는 나라이면 얼마나 좋을까? 공정과 상식으로 이끄는 정치가 펼쳐져 국민의 정치토론이 잦아드는 나라가 되기를 간구한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