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中학자 "중국서 독립운동한 韓, 광복절 '日협력·中견제' 거론"

연합뉴스

2025.08.31 19: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韓정부, 中 지속 항전 없었다면 광복 더 어려웠다는 점 명심해야"
中학자 "중국서 독립운동한 韓, 광복절 '日협력·中견제' 거론"
"韓정부, 中 지속 항전 없었다면 광복 더 어려웠다는 점 명심해야"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이 2차대전 승전 80주년을 맞아 '항일 분위기' 띄우기에 나선 가운데 중국 학자가 관영매체를 통해 한중 양국이 항일 역사를 되새기고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잔더빈 상하이대외경제무역대 조선반도(한반도)연구센터 주임은 1일 환구시보 기고문에서 "한국광복군과 중국군은 어깨 걸고 싸웠고, 한국 독립운동 지도자는 중국 땅에서 도처를 다니며 호소했다. 그들의 배후에는 중국 정부와 인민이 제공한 거대한 지지가 있었다"며 "이런 역사는 양국 인민의 혈맥에 깊이 새겨진 공동의 기억"이라고 했다.
잔 주임은 "그러나 유감스러운 것은 광복절을 기념하는 한국 정부의 공개 발언에서 중국의 지지에 대한 언급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라며 "오히려 한국 지도자는 최근 수년 동안 광복절 연설에서 당시 가해자인 일본과 미래를 보고 협력하고, 심지어 한미일 3국 안보 협력이 필요하다고 반복 선언하면서 중국을 잠재적 안보 도전으로 간주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표현은 중국과 한국이 함께 일본에 대항한 역사에 눈에 거슬리는 대비를 이루고, (한국이) 역사를 잊거나 심지어 등진다는 인상을 주기 쉽다"고 강조했다.
그는 "광복절은 본래 조선반도가 식민 굴레에서 벗어나 민족 독립을 되찾은 기념일"이라며 "다만 우리는, 특히 한국 정부는 중국의 지속적인 항전이 일본의 국력을 소모하지 않았다면, 중국이 제공한 전략적 종심(縱深·일본군을 대륙 깊숙이 끌어들인 것)과 국제적 지지가 없었다면 조선반도 광복의 길은 더 어렵고 길었을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잔 주임은 "오늘날 역(逆)세계화와 공급망 재편, 기후변화 등 도전을 맞아 양국은 솔선해 협력을 강화하고, 일본이 침략 역사를 직시·반성하도록 함께 이끌어 중일한 3국 상호신뢰 구축과 지역 경제 일체화 프로세스를 추진할 조건을 갖췄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잔 주임은 양국이 항일 역사 공동 연구와 유적 보호, 공동 기념행사 등으로 젊은이들에게 과거를 이해시키는 한편 국제기구 및 다자 플랫폼에서 함께 목소리를 내 동북아시아의 평화·안정을 함께 이끌 수 있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성조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