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각국 정상들이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중국 톈진으로 모여들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지난달 31일 SCO와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 참석차 중국에 도착했는데요.
푸틴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작년 5월 국빈 방문 이후 1년 3개월여만입니다.
중국중앙TV(CCTV)는 "러시아는 SCO의 6개 창립회원국 가운데 하나이고, 중러 양국은 SCO 프레임 안에서 시종 긴밀한 연계를 유지해왔다"면서 "중러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양국 관계는 역사상 가장 좋은 시기에 놓여 있고, 혼란과 변혁의 현재 세계에서 가장 안정되고 가장 성숙하며 가장 전략적 내용이 풍부한 강대국 관계가 됐다"고 자평했습니다.
CCTV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중을 세 명의 부총리와 10여명의 장관, 대기업 대표들을 포함한 '규모가 크고 의의가 중대한' 대표단이 수행한다며 "푸틴 대통령이 (SCO 정상회의와 열병식) 행사들에 참여하는 것은 중러 신시대 전면 전략 협조 동반자 관계의 높은 수준을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이번 방중에 앞서 중국 신화통신에 공개된 서면 인터뷰를 통해 '공정한 다극 세계질서' 구축을 강조하며 중러 밀착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SCO는 중국과 러시아가 지난 2001년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4개국과 함께 만든 다자 협의체입니다.
2017년 인도·파키스탄, 2023년 이란, 2024년 벨라루스 등이 추가로 들어오면서 현재 회원국은 10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초기에는 테러·분리주의 대응 등 안보 분야 협력에 집중했지만, 중러 양국과 미국·유럽 등 서방 진영의 대립이 선명해지면서 최근에는 경제·문화 등으로 협력 분야를 확대했습니다.
특히 중국이 미국 등 서방에 맞서 글로벌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개발도상국) 결집에 공을 들이는 만큼,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공 등 신흥경제국 연합체)와 함께 SCO의 중요성이 부각된 상황입니다.
중국은 이번 SCO 정상회의가 '사상 최대' 규모임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이번 SCO 회의에는 시진핑 주석, 푸틴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0여개국 지도자 및 국제기구 관계자 10명이 참석합니다.
푸틴 대통령은 SCO 정상회의 일정 후 베이징으로 이동해 3일 베이징 톈안먼(天安門) 앞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과 함께 참석할 예정인데요.
시진핑 주석은 열병식을 통해 북·중·러 3국 정상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장면을 연출하며 SCO 정상회의에 이어 반(反)서방 연대를 과시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임동근·신태희
영상: 로이터·사이트 CCTV·신화통신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임동근
저작권자(c)>